Skip to content

조회 수 57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302130000005&code=940100



이주자 경제 기여엔 ‘긍정’ 국민 수용엔 ‘부정’

ㆍ한국인 관용 수준 OECD 9위 불구 ‘이중적 시선’

외국인 노동자나 북한 이탈주민 등 이주자를 바라보는 한국인의 시선이 최근 10년 새 크게 너그러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1995년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국가 중 한국이 29위로 하위권에 속했지만 2010년에는 9위까지 올랐다.

통계개발원이 12일 내놓은 ‘한국의 사회동향 2012’ 보고서를 보면 이주자에 대한 한국인의 ‘관용’ 수준이 과거에 비해 비약적으로 상승했다. 외국인 이주자에게 얼마나 관용을 베푸는지를 나타내는 지표가 한국은 1995년 0.482로 OECD 34개 국가 중 29위였다. 이런 경향은 2000년까지 지속돼 27위(0.514)를 기록했으나, 2005년 13위(0.534) 2010년 9위(0.573)로 상승했다. 관용 수준이 가장 높은 나라는 아이슬란드(0.649)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스웨덴·핀란드·덴마크 등의 순이었다.

그러나 한국인은 이주자에 다분히 이중적인 시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를 보면 한국인은 이주자들이 한국 경제에 기여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이들로 인해 사회 갈등이 커지고 세금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또 이주자의 인권과 복지에 대한 권리는 찬성하면서도 투표권과 같은 정치적 권리에는 반대하고 있으며, 이주자를 직장동료나 이웃 친구로 받아들이기는 하지만 가족 구성원이나 국민으로 수용하는 것은 꺼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예컨대 동남아시아 출신 이주자를 동료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한국인 비율은 73.1%지만 자녀의 배우자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비율은 28.4%, 국민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비율은 56.8%에 불과했다. 미국인의 경우도 동료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비율은 81.7%인 반면 자녀의 배우자나 국민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비율은 각각 40.2%와 64.0%였다. 특히 학력과 소득 수준이 낮고, 연령이 많을수록 이주자에 적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오창민 기자 riski@kyunghynag.com>
?

Title
  1. 교황청 ``다빈치 코드`, 예수를 팔지마라`

    Date2006.04.18 By운영자 Reply0 Views5858
    Read More
  2. 목적이 분명하고, 건강한 교회가 성장한다`

    Date2006.07.14 By운영자 Reply0 Views5836
    Read More
  3. 국적은 한국인데 주민번호 없는 그들, 재일동포

    Date2012.12.14 By관리자 Reply0 Views5799
    Read More
  4. 한국 보수 기독교세력의 행동

    Date2009.07.07 By운영자 Reply0 Views5792
    Read More
  5. 삼보일배, 이야말로 진정한 종교- 한겨레

    Date2003.05.31 By운영자 Reply0 Views5792
    Read More
  6. 이주자 경제 기여엔 ‘긍정’ 국민 수용엔 ‘부정’

    Date2013.02.12 By관리자 Reply0 Views5763
    Read More
  7. 신학·문학·영화로 버무린 어둠의 세계 - 오마이뉴스

    Date2003.10.17 By운영자 Reply0 Views5732
    Read More
  8. 계시_미니 씨리즈

    Date2009.12.16 By운영자 Reply0 Views5710
    Read More
  9. 연간 수십억 달러 거래되는 해외 입양 시장

    Date2013.01.24 By관리자 Reply0 Views5698
    Read More
  10. 교계언론, `애완견`인가 `감시견`인가

    Date2003.03.01 By운영자 Reply0 Views5687
    Read More
  11. 종을 훔치다

    Date2010.05.04 By운영자 Reply0 Views5675
    Read More
  12. 일본이 태평양전쟁에서 패배한 진짜 이유

    Date2009.06.24 By운영자 Reply0 Views5670
    Read More
  13. 이명박 당선자, 인맥의 핵심 `소망교회`

    Date2007.12.29 By운영자 Reply0 Views5664
    Read More
  14. [우리시대의 巨匠] 종교학자 정진홍 교수 -주간한국

    Date2003.03.30 By운영자 Reply0 Views5646
    Read More
  15. 성명서]인간의 무지와 교만이 빚어낸 한반도 대운하 구상

    Date2008.04.17 By이동진 Reply0 Views5638
    Read More
  16. 일, 한·일 청구권 계산 때 ‘강제동원 사죄·배상’ 뺐다

    Date2013.02.19 By관리자 Reply0 Views5622
    Read More
  17. ‘다빈치 코드’ 위험한 이유 따로 있다

    Date2006.04.21 By운영자 Reply0 Views5596
    Read More
  18. 일본 돕기 열풍에 빠진 한국... 뭐 잊은 거 없어?

    Date2011.04.07 By관리자 Reply0 Views5587
    Read More
  19. 빗나간 믿음으로 폐쇄된 집단생활 - 연합뉴스

    Date2003.05.16 By운영자 Reply0 Views5586
    Read More
  20. 리처드 기어·현각스님, 무릎 맞대고…

    Date2007.11.11 By운영자 Reply0 Views5579
    Read More
  21. 종교의 적은 종교? 근본주의가 평화 깬다 -한겨레

    Date2003.03.28 By운영자 Reply0 Views5567
    Read More
  22. 故 문익환 목사 부인 박용길 장로 별세

    Date2011.09.26 By관리자 Reply1 Views5548
    Read More
  23. 서동진의 <자유의 의지 자기 계발의 의지>

    Date2009.12.19 By운영자 Reply0 Views5545
    Read More
  24. 미 중학생 "한국하면 떠오르는 것? 포켓몬!"

    Date2011.05.14 By관리자 Reply0 Views5543
    Read More
  25. 대형교회 비판

    Date2009.12.17 By운영자 Reply0 Views5543
    Read More
  26. Korean War

    Date2011.04.02 By관리자 Reply0 Views5535
    Read More
  27. 부시 초청으로 논란 빚은 6·25 전쟁 60년 평화 기도회 열려

    Date2010.07.07 By사랑과 정의 Reply0 Views5525
    Read More
  28. 쓰나미 재해 돕기: 연합교단 긴급 메시지

    Date2005.01.01 By운영자 Reply0 Views5521
    Read More
  29. 슬픈 4.19 기념 시민행사 두 풍경/

    Date2003.04.19 By운영자 Reply0 Views5509
    Read More
  30. 캐나다 한인 목회자 시국선언

    Date2009.07.02 By운영자 Reply0 Views550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