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964 추천 수 2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4년 4월16일,

침몰하는 세월호에 갇힌304명의 고귀한 생명들은 영문도 모르는채, 오지도, 시도도 하지 않는 구조를 기다리며 힘없이 죽어갔다. 사태 해결의 책임자들로부터 외면당한채, 아직도 시간이 남아 있는 절명의 순간에, 연약한 생명들은 허무한 기다림 속에 그렇게 죽어갔다. 침몰의 원인은 감추어졌고, 그들의 죽음을 그만 잊으라고 강요받고, 원인규명의 노력이나 아픔에의 동참은 불온행동으로 덧칠 되었다.  세월호의 슬픔은 가족을 잃은 사람들의 절규 속에, 아파하는 사람들의 기억속에, 슬퍼하는 사람들의 작은 노란리본 속에 그렇게 머물러야했다.

 

이천년 전 어느날,

한 갈릴리 청년은 어린 아이들, 배고픈 사람들, 병든 사람들, 가난한 사람들, 억울한 사람들, 힘없는 사람들, 강도 만난 사람들을 향하여 “이들이 바로 우리의 이웃”이라 선언하고, 함께 나누고, 울고, 웃으며 그렇게 살다가, “내가 너희를 사랑한 것처럼 너희도 서로 사랑하라”라는 마지막 당부를  남기고, 모두의 침묵과 외면 속에, 구원의 손길도 받지 못한채 고통과 슬픔속에 처절하게 죽어갔다. “주여 왜 나를 버리시나이까” 골고다 언덕에서의 그의 절규는 남겨진 가족과 따르던 무력한 사람들에게 깊은 절망이 되었다.

 

세월호의 죽음은 정치권력과 종교권력으로부터 버려진 힘없는 우리 이웃이 당한 억울한 죽임이었으며,

골고다 언덕의 죽음은 힘없고 억울한 이들을 위해 삶으로 살다가 또 다른 정치권력과 종교권력에 의해 불온한 낙인이 찍힌채 우리의 침묵과 외면속에 저질러진 죽임이었다.

 

막히고, 갇히고, 눌러지고, 감추어진 죽음의 무력한 기억은 오랜동안 우리안에 한이되고, 멍울이되고, 고름이되고, 수군거림이되더니, 급기야 함성으로 터져 나와, 불을 밝히고, 어둠을 몰아내고, 권력자들을 내치고 힘없는 사람들의 환희의 노래가 되었다.

 

절망이 희망으로 살아나고, 슬픔이 기쁨으로 바뀌고, 미움이 연민이 되고, 절규가 노래가 되고, 맺힌 한이 풀어지고, 움츠림이 당당함으로 피어나는 것이 부활이어야한다.

우리의 죄를 위해 죽었다는 관념 속의 죽음과 부활이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오늘 바로 이 곳에서 죽어가는 이들과 함께 죽으며, 함께 생명으로 일어서는 그런 부활이어야 한다. 그래야 이땅에 하나님 나라가 임하는 것이 아닌가?

한 알의 씨가 옥토에 떨어지고 썩어져 오십배 백배의 결실을 맺고, 작은 겨자씨가 심겨져

잎이 무성한 나무로 자라나 새들이 깃들이는 그런 부활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세월호의 노래, 부활의 노래를 함께 힘껏 부르자. 

 – 캘거리한인연합교회 한 교우의 부활 단상 -

?
  • ?
    키에르 2017.04.10 16:36
    올해는 4월 16일이 세월호 사건이 있던 날이자 부활절이네요.
    그리고 이번주간은 고난 주. 죽음과 부활의 소망을 새롭게 생각하게 됩니다.
  • ?
    다중이 2017.05.07 16:56
    저도 부활절 날짜와 겹치는 것과 인양되는 것 그리고 사실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세월호 리본 모양의 구름을 보면서 드디어 세월호의 진실이 밝혀질 때가 된 것이 아닌가 하는 그런 생각과 바램을 가져봤습니다.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쓰기 및 편집 방법 2 file 다중이 2016.06.12 48847
51 토끼방지울타리 1 플로렌스 2011.06.26 26986
50 톨스토이는.늘.세가지.물음을.가슴에.담고.살았다고.합니다. 구정희 2006.10.30 8383
49 트럼펫 연주 Mission 2008.02.14 8743
48 파병 찬반을 떠나 생각해야할 것 - 한겨레 운영자 2003.03.30 8505
47 퍼스트 스텝스 소개 동영상- 수잔리치 인터뷰 ch 2010.09.13 8851
46 퍼스트스텝스 후원자 되기 먼동 2010.09.01 10605
45 퍼스트스텝스/수잔리치 후원 예배 초대 10 먼동 2010.11.18 10457
44 평양공연:New York Philharmonic Orchestra 로즈마리 2008.02.27 8716
43 평화의 근원적 의미를 생각한다 -문화망명지 운영자 2003.04.22 8141
42 포트 맥머리 화재의 이재민들을 돕는 최상의 방법 - 돈을 기부하라 플로렌스 2016.05.06 579
41 풍요의 계절, 잘 먹으면 암 예방 운영자 2005.09.01 8521
40 플라스틱 쓰레기가 새들을 죽인다 플로렌스 2013.02.25 13200
39 하나님은 누구인가 구정희 2007.09.22 8188
38 하버드 특강- 마이클 센델 플로렌스 2012.10.31 12549
37 학문의 즐거움-한겨레 유학생한마당 퍼온글 운영자 2003.04.23 11718
36 학자들의 은어 운영자 2003.04.16 8529
35 한 분의 형제님을 떠나 보내며 다중이 2019.08.30 593
34 한 사람만 바라보기! 한별 2004.02.27 8337
33 한국 보수 기독교세력의 행동- 퍼옴 2 Elbow River 2009.07.04 8736
32 한국-이탈리아 정말 똑같네! -퍼온 글 운영자 2003.10.03 12014
31 한국에 사는 영국인 Mark Thomas 플로렌스 2011.03.13 14797
30 한국에서 외국인들을 보는 한국사회 두가지 시선 2 플로렌스 2011.06.01 18808
29 한국에서 인사드립니다 김용재 2005.11.01 9212
28 한국에서의 인종차별: 원어민영어강사의 경우 운영자 2007.01.24 8498
27 한국영화 방가방가를 보고... 4 뚜버기 2010.12.11 8852
26 한국영화제 밀양 2009.04.17 8882
25 한국의 막장 교회들-부자세습 플로렌스 2012.10.21 9442
24 한글판 `요코이야기` 왜곡 투성이 운영자 2007.01.23 8755
23 한반도 전쟁의 환란에 대비하라. 한반도 전쟁의 환란에 2006.10.22 8763
22 한시도 눈을 뗄수가 없었던 한민족과 기독교에 관한 이야기... 3 뚜버기 2011.09.20 212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Next
/ 20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