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466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음악: GIOVANNI MARRADI - Remember When

 

1937년 4월 26일 스페인의 프랑코 군대는 바스크라는 작은 마을을 공격하여 7000명의 주민 중 1654명을 학살합니다. 이에 분노한 피카소는 이 학살의 장면을 그림으로 형상화하여 파리 국제 전시회에서 그 잔혹함을 고발합니다.    

 

Pablo Picasso, Guernica, 1937, oil on canvas, 349 cm × 776 cm. (Museo Reina Sofia, Madrid)

이 그림은 너무나 유명하여 다들 잘 알지만, 가장 고통스러운 모습으로 신음하는 동물인 말의 모습엔 우리가 별로 관심을 가지지 못했습니다. 인간이나 동물이나 무차별적으로 희생자가 되는 이 장면을 한때 가톨릭 수녀였던 신화학자 캐런 암스트롱은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두 명의 여성이 이 고통에 못이겨 울부짖는 말의 모습을 마치 자기의 고통인양 감정이입(empathy)을 하여 바라봅니다. 고통은 사람이나 동물이나 모두가 느끼는 것이며, 이런한 타자의 고통이 극에 달해 몸부림치는 모습(agony)을 피카소는 전하고 있습니다. 

 

타자의 아픔을 함께 느끼는 것은 함께 있다고 그런 것은 아닙니다. 한국의 대통령을 보십시오. 세월호 희생자 유가족들을 만나고도 그리고 악어의 눈물을 흘리고도 아직도 본체만체 하는 것은 세월호의 아픔의 이야기를 함께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타자의 고통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지겹다, 신물난다고 외치는 한국의 극우들의 "악의 일상화"(the routinization of evil)는 바로 이야기의 단절이고 마음의 흐름의 단절입니다. 희생자 자녀를 둔 아이들의 부모들은 평생 그 한을 마음에 품고 살아갑니다. 고통은 잊을 수 없는 것이고 생이 다하는 때까지 파도처럼 밀려와 심장을 두드릴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는 타자의 모든 고통에 공감이나 자비의 마음을 가질까요? 거의 그렇지 못합니다. 어떤 때 우리는 타자의 눈물에 우리도 눈물을 흘리지만, 어떤 때 우리는 타자의 눈물조차 고드름으로 만들어 버립니다. 우리의 눈물은 항상 지엽적이며, 부족주의적이며, 가족주의적이며, 그리고 민족주의적입니다. 결국 이기적입니다. 눈물의 바다는 우리에게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우리의 감정은 이야기를 따라가며, 그 이야기가 보여주는 흐름에 내가 마치 흐르는 강물처럼 따라갈 때, 내 마음이 강물이 되고, 급기야는 바다가 되는 것이죠. 타자의 이야기가 산줄기를 따라 굽이쳐 흘러 내 가슴에 와 닿을 때 우리는 비로소 공감의 눈물을 흘립니다. 

?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쓰기 및 편집 방법 2 file 다중이 2016.06.12 48860
171 우리교회 미녀들에게 노래방 오픈합니다. 2 곽B 2009.12.07 8439
170 우리를 슬프게하는 것... 2 ElbowRiver 2010.11.29 15578
169 움베르토 에코의 평론: 감정과 이성 운영자 2003.04.08 8820
168 위기의 남유럽을 가다 플로렌스 2012.04.13 14788
167 유키 구라모토 -- 세느강의 정경 [음악] 운영자 2003.07.17 8617
166 유행따라 사는 것도 제멋이지만... 3 file 플로렌스 2011.04.12 17771
165 육체 기적수업 2006.09.18 8730
164 은유로서의 질병 -뉴스 메이커 운영자 2003.06.15 8462
163 은유로서의 질병 2 운영자 2003.06.17 8338
162 은유의 묘미 cascading 3 플로렌스 2012.07.16 12438
161 은하철도 999 영어 더빙입니다 1 플로렌스 2012.06.17 26946
160 이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것은. 글사랑 2005.02.24 8423
159 이라크전, 2차대전후 최대위기 부를 수도` -프레시안 운영자 2003.04.02 12359
158 이런때도 있었지요.. 2 ElbowRiver 2010.11.29 91232
157 이명박 정권의 신자유주의 경제정책의 살떨림 이동진 2008.06.05 8106
156 이바노비치- 다뉴브강의 잔물결 운영자 2003.07.17 8761
155 이번 캐나다 연합교회 총회장의 첫 연설 운영자 2003.09.07 8578
154 이상철 목사님의 소천에 붙여 플로렌스 2017.01.31 962
153 이이제이 문익환 목사편 with 문성근 뚜버기 2014.01.02 6210
152 이장님이 소개해 주신 책 1 플로렌스 2012.06.26 9654
151 이집트 콥트 교회인 Abu Serga 플로렌스 2012.11.02 11644
150 인간 탐구 기억 플로렌스 2011.05.08 17466
149 인종차별 곽계훈 2009.02.14 8645
148 인터넷 떠도는 주민번호 -한겨레 운영자 2003.10.03 11664
147 인터넷언어 갈수록 암호화 운영자 2005.09.30 8935
146 인터넷으로 한국MBC라디오를 청취하실수 있습니다 이종해 2007.03.01 8028
145 인터넷정치방송|인터넷 동영상 운영자 2008.06.02 8935
144 일본 관련하여 우리 교회를 통하여 무언가 할 수는 없을까요? 3 뚜버기 2011.03.14 12132
143 일본라면집 곽B 2009.11.16 8374
142 임형주의 同心草 마틴 2009.05.30 84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Next
/ 20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