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중국의 티베트인권 탄압 막고픈 리차드 기어 마음 외면한 한국불교

http://well.hani.co.kr/22912

조현 2011. 06. 29
조회수 86948추천수 0

ri.jpg

지난 22일 자신이 찍은 사진 앞에서 중국 정부의 티베트인 고문 사실을 폭로하는 리처드 기어.

미국 할리우드 유명배우 리처드 기어의 방한(지난 20~25일) 때 한국 불교계가 취한 태도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리처드 기어를 만난 조계종 총무원장 자승 스님을 비롯한 한국 불교계 인사들이 중국정부의 탄압으로 고통 받는 티베트의 인권 문제 등에 관심을 보이지 않은 데 대해, ‘불교적 가치를 도외시한 처사’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리처드 기어도 방한 중 영화배우로만 화제가 되는 상황에 답답해한 것으로 전해졌다. 리처드 기어는 지난 20여년 동안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의 대변자로서 중국 정부의 티베트 불교에 대한 탄압 등을 서구 사회에 널리 알리는 데 애써왔다.

지난 21일 리처드 기어와 총무원장의 만남 자리에서 ‘티베트’ 문제가 언급되지 않은 데 대해, 조계종의 한 중진 스님은 “리처드 기어는 사실상 달라이 라마의 특사나 다름없는 인물인데, 그를 할리우드 영화배우로만 대하고 정작 고통 받는 티베트불교와 달라이 라마에 대해 종교지도자로서 자비심을 담은 의례적 언급조차 못한 것은 안타까운 일”이라고 평했다.

리처드 기어의 통역을 맡았던 혜민 스님은 “리처드 기어는 티베트인들의 실상을 전하고, 차분히 한국 불교에 대해서 공부하고자 했지만, 가는 곳마다 영화 이야기만 해 답답해했다”며 “달라이 라마와 티베트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는 마치 하지 않기로 약속이나 한 듯이 아무 데서도 꺼내지 않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22일 사진전 개막식날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주최 쪽은 기자들에게 “리처드 기어에게 어떤 정치적 질문도 하지 말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리처드 기어는 한 사진을 설명하면서 “티베트 교도소에서 중국 정부로부터 고문받은 여승들을 찍은 것이며, 티베트와 중국에서 여전히 티베트인들에게 이런 고문이 자행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ti monk.jpg

리처드 기어가 찍은 티베트 여승의 사진

한국 정부는 중국 정부의 압박으로 2000년 이래 여러 차례 달라이 라마의 비자 발급을 거부했다. 중국 정부는 외교 관계가 있는 나라들에 대해 달라이 라마의 비자를 발급하지 못하도록 압력을 행사하고 있지만, 일본은 10여차례나 달라이 라마의 방문을 허용하는 등 중국의 그런 압력에 실제 굴복하는 나라는 한국 외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조계종 역시 국가가 장악한 중국 불교계와는 다른 처지임에도, 정부 기조에 비판 없이 동조해왔다.

정웅기 불교시민사회네트워크 집행위원장은 “(한국 불교가) 자비와 인권, 비폭력 등 불교적 가치를 인류사회에 실현하기 위해 어떻게 대응하고 연대해야 하는지에 대해 별다른 비전이 없다는 것을 이번 리처드 기어의 방한 때도 보여준 것”이라고 비판했다. 리처드 기어는 경남 양산 통도사와 대구 동화사 등을 방문해 한국 불교를 체험할 계획이었으나 날씨 등을 이유로 들어 결국 산사체험 계획을 취소하고 떠났다.

이에 대해, 리처드 기어와 총무원장의 만남에 배석한 조계종 기획실장 정만 스님은 “리처드 기어가 ‘여기서 먹는 맛있는 음식과 달리 티베트에서 먹은 음식은 거칠고 먹기 어렵다’는 이야기만 했을 뿐 달라이 라마와 티베트 문제 등에 대한 대화는 없었다”며 “자리가 번잡하고 리처드 기어의 가족까지 함께했기 때문에 그런 이야기를 나눌 만한 분위기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또 혜민 스님은 "리처드 기어가 산사에 가지않은 것은 한국 불교에 대한 불만이라기보다는 일정을 조정했던 기획사와 파파라치처럼 따라 붙은 기자들과 팬들 때문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65 물 존재, 지구같은 행성발견...기온 22℃ 관리자 2011.12.05 9617 2011.12.05
64 뉴욕 스님들이 성탄예배 하러 교회에 간 까닭은? 관리자 2011.12.24 4516 2011.12.24
63 한기총, <뉴스앤조이>를 없애려 하다 관리자 2011.12.24 3944 2011.12.24
62 성탄절 교회에서 설교하는 법륜스님 "서로 다름이 풍요로움으로" 관리자 2011.12.24 7036 2011.12.24
61 내가 굴드에 엮인 세 가지 이유 관리자 2012.01.07 3999 2012.01.07
60 읽고 쓰는 평민의 공론중세 조선을 해체하다 관리자 2012.01.07 4059 2012.01.08
59 "편지에 성경 구절 있거든 탈출한 것으로... 1 관리자 2012.01.22 4408 2012.01.27
58 "이름 듣고 '백인' 짐작했던 이들이 피부색 본 뒤엔…" 관리자 2012.01.23 4701 2012.01.23
57 고문·학살도 용서하는 하나님 위 ‘상 하나님’ 3 관리자 2012.01.23 4129 2012.01.27
56 다시 중국에 조공을? 한반도의 미래는… 관리자 2012.01.30 4440 2012.01.30
55 2044년 한국 최대 종교는 가톨릭 관리자 2012.02.02 4038 2012.02.02
54 천주교 신자수가 부쩍 늘었다는데.. 2 관리자 2012.02.02 6979 2012.02.08
53 "해외파 친구, 같이 놀면 은근 억울해요" 관리자 2012.02.16 4036 2012.02.16
52 에런라이크의 <긍정의 배신> 2 관리자 2012.03.07 4158 2012.03.14
51 탈북자 죽이는 진짜 '어둠의 세력'을 고발한다! 관리자 2012.03.16 4047 2012.03.16
50 레이디 가가 욕하는 한국 교회, 이건 몰랐나? 관리자 2012.04.25 3999 2012.04.25
49 성공회, “성직자 납세의무 적극 찬성한다” 관리자 2012.07.09 4006 2012.07.09
48 개신교 새 찬송가 문제로 또 ‘시끌’ 관리자 2012.07.24 4016 2012.07.24
47 아프리카, 미국 극우들의 천국 되나 관리자 2012.08.11 4101 2012.08.11
46 [책과 삶]재일조선인으로 산다는 것… 그리고 국가주의, 소수자의 삶 관리자 2012.08.11 4080 2012.08.11
45 부장님 우울하면 사무실은 멘붕 플로렌스 2012.08.24 4094 2012.08.24
44 ‘MB 교회’, 복마전으로 변한 성전 관리자 2012.08.31 4089 2012.08.31
43 "독도는 우리 땅" 외칠 때 피눈물 흘리는 사람들! 관리자 2012.09.08 4155 2012.09.08
42 기독교계 '예수 결혼설' 논쟁 다시 불붙나 관리자 2012.09.22 4143 2012.09.22
41 [책과 삶]한국계 외국인 손님의 눈으로 한국 사회의 천박함을 들여다 보다 관리자 2012.09.22 6881 2012.09.22
40 문선명 총재 별세 일주일..'왕자의 난' 재발하나 관리자 2012.09.22 4136 2012.09.22
39 새 대가리? 새들도 장례식에서 슬피 운다 관리자 2012.09.22 4157 2012.09.22
38 [책과 삶]보수는 사실보다 신념을 추종한다 1 관리자 2012.09.22 4096 2012.10.03
37 조용기 목사 WCC 반대, 한기총 지지 입장 표명 1 관리자 2012.09.25 4202 2012.10.01
36 중국서부 1만2000리 등 여행기 펴낸 공원국씨 관리자 2012.10.03 4103 2012.10.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