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8866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1989년 3월25일 베이징에서 문익환 목사와 우리 일행이 주중 북한대사 주창준씨의 안내로 대기중인 특별비행기에 몸을 실은 것이 오전 10시께였다. 도쿄 한국대사관은 물론 총련 중앙본부조차도 눈치채지 못하도록 그야말로 쥐도 새도 모르게 은밀히 행동을 한 덕분에 무사히 평양으로 떠나게 되어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기내에 오르자 승무원이 다가오더니 지금 순안비행장에서 내외기자단이 우리 일행을 기다리고 있으니 도착성명을 준비해 달라고 하는 것이 아닌가.

베이징에서 평양까지 비행시간은 한 시간 반, 그동안에 문안을 작성해야 하는데, 그 작업은 물론 문 목사의 비서역인 내 몫이었다. 문 목사는 무엇 때문에 평양으로 향하고 있는가. 민족의 질곡인 분단을 해소하기 위해 스스로 십자가를 지고자 각일각(刻一刻) 골고다로 다가서고 있는 그가 아닌가!
붓을 들고 보니 같은 길을 걷다가 희생당하신 김구 선생, 장준하 선생의 모습이 눈에 가물거렸다. 그리고 일제에 꼬리를 떨던 기회주의자들을 꾸짖는 김구 선생의 말씀, 분단을 강요하는 강대국 앞에 무릎을 꿇고 권력 유지에만 급급한 사대주의자들을 규탄하는 장준하 선생의 목소리가 귓전으로 들려오는 듯했다.

그래서 우리 민족의 고통의 근원이 분단에 있음을 말하고, ‘나 문익환은 남쪽 민중을 대표해 어떻게 하면 하루속히 삼팔선을 걷어치울 수 있겠나. 김일성 주석을 만나 서로의 의견을 나누고자 평양으로 가는 것’이라고 이번 방문여행의 뜻을 밝히고 나서 ‘모든 통일은 선이다’라는 말로 도착성명을 마무리했다.

문 목사가 성명서 초안을 읽고서 추고할 겨를도 없이 비행기는 착륙했고, 그는 한 자 수정 없이 그 도착성명을 낭독했다.

훗날 쇠고랑을 차고 법정에 선 문 목사를 괴롭힌 대목이 바로 ‘모든 통일은 선이다’라는 마지막 문구였는데, 남한 당국은 그 문구를 꼬투리 잡아 ‘그렇다면 적색통일도 선인가’라고 문 목사를 윽박질렀다. 그런데 사실 알고 보면 그 문장을 기초한 나, 정경모는 ‘모든 통일은 선인가? 그렇다 우리에게 통일 이상의 지상명령은 없다’고 갈파한 장준하 선생의 말씀(<씨알의 소리> 1972년 9월호)을 그대로 인용했을 뿐이었던 것이다.

기묘하게도 평양 방문 다음날 일요일은 부활주일이었는데, 부활주일 예배에 참석하느라 봉수교회를 꽉 메운 청중들 앞에서 문 목사는 “민주는 민중의 부활이요 통일은 민족의 부활이다굡箚?사자후를 토하여 모인 사람들로 하여금 뜨거운 눈물을 흘리게 했다. 나도 울었다. 통일의 날이 올 때까지는 민족은 무덤에서 잠자고 있는 시체일 뿐이라는 뜻이 아닌가.

죽음을 무릅쓰고 삼팔선을 건너시면서 ‘오늘 내가 걷는 눈 덮인 벌판길(踏雪野中去), 뒤에 오는 사람들의 이정표가 되리니(遂作後人程)’라고 읊으신 김구 선생, ‘모든 통일은 선’이라고 거침없이 외치신 장준하 선생, 그리고 또 평양 봉수교회에서 ‘통일은 민족의 부활’이라고 울부짖은 문익환 목사, 이들 세 분의 선각자는 상징적으로 말해 상해임시정부의 정신을 구현하고 있는 분들이지만, 그 상해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함으로써 정통성을 지니고 있노라고 주장하는 대한민국 권력에 의해 박해를 받은 사람들이 아닌가.

대한민국 정부는 이미 저질러진 역사적 오류를 씻어내고 이들 세 분의 정신을 앙양함으로써 국가 정통성을 굳혀 나갈 처지에 있으면서도, 오늘의 남북관계를 보면 오히려 그러한 실천으로부터 역행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아스러울 뿐이다.

정경모 재일 언론인
?
  • ?
    Charley C. Park 2009.04.03 23:06
    진정한 애국애족 인사들은 암살당하거나 박해 받는 현실에서 아직도 진정한 해방과 통일이 멀게만 느껴짐이 정말 안타깝습니다.

Title
  1. 글쓰기 및 편집 방법

  2. No Image 19Jan
    by 운영자
    2004/01/19 by 운영자
    Views 9590 

    "`베이글` 웜 국내외 확산"…제목 Hi`인 e-메일 실려 전파

  3. 희망의 밭 의미

  4. No Image 15Aug
    by 조혜원
    2005/08/15 by 조혜원
    Views 8392 

    희귀 난치 근육병 환우들의 공동체를 도와주세요

  5. No Image 05Sep
    by 플로렌스
    2016/09/05 by 플로렌스
    Views 777 

    흥미로운 단편영화 "천상의 피조물"

  6. No Image 29Jul
    by 운영자
    2003/07/29 by 운영자
    Views 23640 

    회의주의 사전 - 펌

  7. No Image 22Apr
    by 운영자
    2003/04/22 by 운영자
    Views 11197 

    화염과 소화분말에 얼룩진 4.19 t-김정일 타도! 미 합중국 만세-오마이뉴스

  8. No Image 19Sep
    by 운영자
    2003/09/19 by 운영자
    Views 8244 

    홍근수 목사의 내가 만난 천사들 - 향린교회

  9. No Image 16May
    by TKUC-Alpha
    2003/05/16 by TKUC-Alpha
    Views 8605 

    홈페지 안내

  10. No Image 15Nov
    by 이동진
    2008/11/15 by 이동진
    Views 8481 

    홈페이지 새단장을 축하추카합니다

  11. 홈페이지 변경 공지하다가 푸념 만 하네요..

  12. 혹시 "The cove" 라는 영화 가지고 계신분계신가요?......찾았습니다.^^

  13. No Image 21Sep
    by 운영자
    2003/09/21 by 운영자
    Views 8532 

    호주제 옹호단체들 “가족제도 과거로” -한겨레

  14. 호주의 백인 선호 이민사

  15. No Image 18May
    by 이승운
    2003/05/18 by 이승운
    Views 8882 

    형제자매분들께 질문있습니다.

  16. 협동으로 문제 해결하는 침펜지 그러나 매우 제한적...

  17. 현장 숙소에 도착하여

  18. No Image 07Mar
    by 로즈마리
    2008/03/07 by 로즈마리
    Views 20001 

    헨델 G. F. Handel Sarabande

  19. No Image 13Mar
    by 클루
    2003/03/13 by 클루
    Views 8601 

    향기를 팔지 않는 매화처럼.. (플래쉬)

  20. No Image 29Dec
    by Jasper
    2002/12/29 by Jasper
    Views 18030 

    행복한세상~(플래쉬)

  21. No Image 05May
    by 영심이
    2007/05/05 by 영심이
    Views 8478 

    항상 즐거운 삶을 살고 싶다면

  22. No Image 12Mar
    by 이동진
    2005/03/12 by 이동진
    Views 8760 

    한장의 사진-퍼옴

  23. 한시도 눈을 뗄수가 없었던 한민족과 기독교에 관한 이야기...

  24. No Image 22Oct
    by 한반도 전쟁의 환란에
    2006/10/22 by 한반도 전쟁의 환란에
    Views 8763 

    한반도 전쟁의 환란에 대비하라.

  25. No Image 23Jan
    by 운영자
    2007/01/23 by 운영자
    Views 8755 

    한글판 `요코이야기` 왜곡 투성이

  26. No Image 21Oct
    by 플로렌스
    2012/10/21 by 플로렌스
    Views 9442 

    한국의 막장 교회들-부자세습

  27. No Image 17Apr
    by 밀양
    2009/04/17 by 밀양
    Views 8882 

    한국영화제

  28. 한국영화 방가방가를 보고...

  29. No Image 24Jan
    by 운영자
    2007/01/24 by 운영자
    Views 8498 

    한국에서의 인종차별: 원어민영어강사의 경우

  30. No Image 01Nov
    by 김용재
    2005/11/01 by 김용재
    Views 9213 

    한국에서 인사드립니다

  31. 한국에서 외국인들을 보는 한국사회 두가지 시선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0 Next
/ 20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