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몇일전에는 와이프가 처형하고 통화하면서 고 이태석 신부에 대하여 듣게 되었습니다. 그러다가 Youtube를 검색해서 보게 되었습니다.

많은 우리 교우님들은 먼저 보셨겠지만 저는 이제서야 보게 되었습니다. 보면서도 계속 생각하게 되더라고요. 나라면 어떻게 하였을까?
이태석 신부 그분이 진정한 하느님의 제자가 아닐까 생각되어 집니다. 특히 남 수단의 가난한 사람들을 위하여 학교와 성당건물 중 어느것을 먼저 지을까 하고 고민할때 스스로 한 질문이 하느님은 어떤 건물을 먼저 지을까 하고 물어보고 학교를 짖기 시작 하였다고 하는부분...많이 마음에 와 닿았습니다.
혹시 보시 못하신 분들을 위하여 링크 올려 놓습니다. 울지마 톤즈 영화판


한민족리포트_이태석신부1


한민족리포트_이태석신부2


한민족리포트_이태석신부3


한민족리포트_이태석신부4 - Final
?
  • ?
    플로렌스 2011.03.05 07:59

    이 분의 삶을 보면 조우 한다는 것 (encountering)의 기적을 보여 줍니다. 조우 한다는 것은 의도적이든, 그렇지 않든 뜻밖의 만남, 예기치 않은 만남입니다. 장래가 촉망되는 의대생이었다가 사제가 되는 결단, 그리고 신학생 시절 수단의 톤즈로의 여행, 그리고 거기서 생을 보내기로 한 결단, 새롭게 친구가 된 그의 환자들 그리고 아이들, 이 모든 것도 뜻밖의 조우일 수 있습니다. 이 조우는 예기치 않은 새로운 삶을 만듭니다.

    조우란 갈등을 빚는 것일 수 있고 아름다운 세계를 그려내는 것일 수 있습니다. 수단은 내전, 기독교와 이슬람 갈등으로 가난과 기아 질병으로 고통받고 있습니다. 그곳에 이태석 신부는 그곳에 작은 사랑의 불꽃을 유산으로 남기셨습니다. 47의 불꽃같은 인생을 새로운 이웃과 만나 사랑을 나누고 섬겼습니다.

    제가 수단에 관심을 가진 것은 인류학자 에반스 프리챠드의 책 [The Nuer]라는 데서, 그리고 1971년 하바드의 Robert Gardner 가 찍은 흑백 다큐멘터리 film을 통해서였습니다. 아래 동영상은 preview

    이것은 지리할 정도로 사실적으로 묘사한 film입니다. 그리고 몇 년전 캘거리에서 정치학을 하는 난민 출신의 Jacob이라는 수단 학생을 만났습니다.  위의 1960년 대 film을 같이 보면서 (저는 두번째), 거기에 나온 사람들이 자기들과 같은 부족이라는 말을 들으면서 마치 아득한 옛날과 현대의 만남 같은 것을 느꼈습니다.  

    이태석 신부님에 대한 [톤즈야, 울지마]라는 이 film을 보니 참 감동적이면서도 마음이 착잡하군요. 첫째는 수단이 종교 부족 분쟁으로 신음하여 앞으로 어떻게 평화의 나라로 정착할지 하는 것이고 둘째는 이 신부님이 남기신 아름다운 유산이 계속 이어지면 좋겠구나 하는 교차되는 마음 때문입니다. 


    암으로 마지막 생을 다할 때까지 톤즈를 걱정하는 이 신부님의 모습은 영화 이야기에서 표현된 사랑은 깊을 수록 아프다는 그런 것이었습니다. 죽음은 인간이 짊어져야 할 숙명일진대, 사랑은 숙명이 아니라 늘 새롭게 부활할 수 있으니까요. 그것은 잊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그 잊지 않음을 안고 죽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 신부가 암을 선고 받고도 톤즈의 아이들을 위해 쓴 책 [친구가 되어 주실래요]는 끝까지 톤즈를 잊지 않은 이 분의 깊은 사랑이 느껴집니다.  사랑은 실천하는것이고, 선교는 그 부산물임을 이 신부님은 보여 주셨습니다.  



  • ?
    CCP 2011.03.05 20:49

    보는 내내 그냥 눈물만......

    촛불 처럼 자신을 태우신 분이시네요.

    구원의 길을 알면서 가지 못하기에 구원 받기가 정말 어려운가 봅니다.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쓰기 및 편집 방법 2 file 다중이 2016.06.12 48890
81 언어발달의 수수께끼 - 제 3부 나도 말을 잘하고 싶다 플로렌스 2012.03.25 15249
80 마야 문명 플로렌스 2012.03.31 13394
79 위기의 남유럽을 가다 플로렌스 2012.04.13 14788
78 영어 debit의 반대말은 뭘까요? 2 플로렌스 2012.04.15 12023
77 2012 CBC Calgary Reads Book Sale 플로렌스 2012.05.06 28850
76 전화해 3 플로렌스 2012.05.22 10424
75 은하철도 999 영어 더빙입니다 1 플로렌스 2012.06.17 26947
74 이장님이 소개해 주신 책 1 플로렌스 2012.06.26 9654
73 캘거리 다운타운 Devonian Gardens Grand Re-opening 플로렌스 2012.06.29 12000
72 은유의 묘미 cascading 3 플로렌스 2012.07.16 12439
71 재미교포 아줌마, 북한에 가다 플로렌스 2012.07.17 9414
70 조수미의 /아버지를 위하여' 2006 Paris 플로렌스 2012.07.26 9985
69 목숨걸고 편식하다 1 플로렌스 2012.07.31 8957
68 채식 바람 플로렌스 2012.08.01 9468
67 북한노래 세곡 플로렌스 2012.08.02 9260
66 Taizé - prayer and songs 플로렌스 2012.09.15 10357
65 대통령 선거 논쟁에서 주목해야 할 것 플로렌스 2012.10.06 9030
64 영혼의 햇빛 플로렌스 2012.10.21 8882
63 한국의 막장 교회들-부자세습 플로렌스 2012.10.21 9443
62 중국에 사는 한국인 위안부 플로렌스 2012.10.27 9627
61 내년에는 이 정도는 올라야 할 텐데 플로렌스 2012.10.27 8962
60 최진기 '일생의 한 번은 체 게바라처럼' 저자와의 대화 플로렌스 2012.10.30 19139
59 마이클 샌델 초청토론 공생발전과 정의 플로렌스 2012.10.30 14107
58 하버드 특강- 마이클 센델 플로렌스 2012.10.31 12551
57 이집트 콥트 교회인 Abu Serga 플로렌스 2012.11.02 11644
56 최고의 암벽 등반가 플로렌스 2012.11.19 14647
55 나쁜 사마리아 구매인 플로렌스 2012.11.23 12877
54 Remember the Land 플로렌스 2012.12.05 12033
53 개와 늑대의 차이 플로렌스 2012.12.30 14188
52 플라스틱 쓰레기가 새들을 죽인다 플로렌스 2013.02.25 132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Next
/ 20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