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61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올해 안에 평양으로..." '문익환 목사 시비' 서다
[현장] '잠꼬대 아닌 잠꼬대' 시비 제막식... "통일은 다 됐어"
http://ojsfile.ohmynews.com/STD_IMG_FILE/2008/1111/IE000982528_STD.jpg
▲ 11일 한신대학교 수유리 캠퍼스에 건립된 '문익환 목사 시비'. 이날 건립된 시비는 고인이 통일을 염원한 시 '잠꼬대 아닌 잠꼬대'의 한글자 한글자를 놋쇠로 만든 조형물이다. 
ⓒ 이승훈


"통일은 다 됐어."

11일 오후 한신대 수유리캠퍼스에는 '통일'에 대한 낙관과 기대가 넘쳐흘렀다. 고 문익환 목사가 1989년 평양에 갔을 때 했던 "통일은 이제 다 됐어"라는 외침도 다시 울려 퍼졌다.

고 문익환 목사가 통일을 염원한 시 '잠꼬대가 아닌 잠꼬대'가 시비로 건립됐다. '늦봄 문익환 목사 시비건립추진위원회'는 이날 오후 2시 한신대학교 수유리캠퍼스에서 시비 건립 제막식을 열었다. 지난해 1월 시비를 건립하기로 한 지 1년 10여개월 만이다.

시비 건립은 여러 우여곡절을 겪었다. 추진위원회는 6월 항쟁 20주년을 맞은 지난 해, 문익환 목사의 시비를 건립하기로 하고 장소를 경의선 남쪽지역 최북단역인 도라산역으로 정했다. 하지만 지난해 5월 국방부가 민간인 통제구역에서 시설물 건축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방침을 내세워 시비 건립이 무기한 연기됐다.

대안을 모색하던 추진위는 대체 부지로 임진각 평화누리를 선정했지만 이번에는 경기도가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결국 문익환 목사가 후학을 가르치고 장례식이 거행되었던 한신대학교 수유리 캠퍼스를 최종 건립 부지로 선정했다. 

세워진 시비는 '잠꼬대 아닌 잠꼬대'의 시구 한글자 한글자를 놋쇠 조형물로 형상화했다. 고 전태일 열사의 동상을 제작한 화가 임옥상씨의 작품이다. 크기는 가로 1m80㎝, 세로 2m40㎝.

"'잠꼬대 아닌 잠꼬대'가 현실되는 계기 됐으면"

제막식에 참석한 한승헌 변호사는 "문익환 목사의 시비를 건립한 장소조차 뜻대로 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고 타파할 또 하나의 벽"이라며 "역사의 전진이 주춤하고 나라의 어른이 없는 요즘 같은 때 문익환 목사가 너무 그립다"고 추모했다.

시비건립추진위 상임추진위원장을 맡았던 장영달 민주당 의원은 "아직도 분단을 이용해 먹는 기득권 세력이 존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시비 제막이 민족을 갈라놓고 있는 문제들을 몰아내고 그 자리에 통일이 자리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6·15 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 백낙청 상임대표도 축사에서 "6·15공동선언 실천이 주춤하고 있는 것은 남쪽 정부가 6·15선언과 10·4선언을 실현하겠다는 분명한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이라며 "오바마의 당선으로 한반도 정세에 큰 변화가 일 것으로 보이는 이때에 문익환 목사의 헌신과 열정을 이어 받아 노력한다면 '통일은 다 됐어'라는 말을 실감하는 날이 머지 않아 올 것"이라고 말했다.

얼마전 MBC <무릎팍도사>에 출연해 문익환 목사와 함께 한 방북에 대해 이야기한 소설가 황석영씨도 평양에서의 일화를 소개하며 남북화해에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평양에서 돌아오기 직전 대동강변 정자에서 자작시를 낭독하던 문익환 목사의 낙천적이고 로맨틱한 모습에 굉장히 감동을 받았다"며 "그 시인 같은 상상력과 소년 같은 순수성이 아무도 하지 못했던 방북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벌인 힘이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방북 20주년이 되는 내년에는 어떻게든 남북관계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며 "파리에서 기차를 타고 출발해 유라시아를 거쳐 평양에서 다시 경의선 타고 서울역에 오는 거창한 이벤트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유족을 대표해 감사인사를 전한 문성근씨는 "시비 제막이 서울역에서 평양가는 기차표 내놓으라고 하는 '잠꼬대 아닌 잠꼬대'가 현실이 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며 "이곳에서 많은 시민들이 시비를 보고 느끼고 통일의 씨앗을 키워가는 명소가 되길 소망한다"고 밝혔다.

1918 만주 북간도에서 태어난 고 문익환 목사는 1947년 한신대 신학과를 졸업, 목사 안수를 받았다. 1955~1970년까지 한신대와 연세대에서 구약학 강의를 했으며, 1989년에는 민간인 최초로 북한을 방문해 김일성 주석과 두 차례 회담을 갖는 등 통일 운동과 민주화 운동에 일생을 바쳤다.

문 목사는 1992년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되기도 했으며 1993년 '통일맞이 칠천만 겨레모임' 운동을 제창하는 등 새로운 통일운동체를 모색하다가 1994년 1월 18일 자택에서 심장마비로 작고했다.

이날 제막식에는 시비건립추진위원회 관계자 외에 유족으로 부인 박용길 장로와 권영길 민주노동당 의원, 김근태 전 의원, 이인영 전 의원 등 500여명이 참석했다.

시비건립에는 1371명의 개인과 49개 단체 등 총 1420여명이 참여했고 <오마이뉴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등이 후원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010164&PAGE_CD=N0000&BLCK_NO=3&CMPT_CD=M0009&NEW_GB=
?

Title
  1. No Image 09Sep
    by 운영자
    2003/09/09 by 운영자
    Views 6400 

    히틀러 총애 여감독 리펜슈탈 101세로 사망

  2. No Image 20Dec
    by 운영자
    2005/12/20 by 운영자
    Views 4960 

    화계사-한신대 ‘10년 우정’ 끊겨

  3. No Image 03Sep
    by 운영자
    2006/09/03 by 운영자
    Views 8319 

    현각스님, 금강경 강의 열두강좌

  4. No Image 24Sep
    by 관리자
    2010/09/24 by 관리자
    Views 7239 

    한인연합교회들

  5. No Image 23Jul
    by 운영자
    2003/07/23 by 운영자
    Views 4040 

    한기총, 동성애자 죽음 `애도표명`마저 거절

  6. No Image 07Sep
    by 운영자
    2003/09/07 by 운영자
    Views 6020 

    한기총, [크리스챤신문]을 이단 사이비 옹호언론으로 규정

  7. No Image 24Dec
    by 관리자
    2011/12/24 by 관리자
    Views 3946 

    한기총, <뉴스앤조이>를 없애려 하다

  8. No Image 18Jan
    by 안드레
    2004/01/18 by 안드레
    Views 5041 

    한국에서 인사드립니다.

  9. No Image 22Oct
    by 정진형
    2003/10/22 by 정진형
    Views 5339 

    한국불교는 선불교인가?

  10. No Image 07Jul
    by 운영자
    2009/07/07 by 운영자
    Views 5792 

    한국 보수 기독교세력의 행동

  11. No Image 15Jun
    by 운영자
    2003/06/15 by 운영자
    Views 4676 

    한경직 목사 -뉴스 메이커

  12. No Image 23Apr
    by 운영자
    2009/04/23 by 운영자
    Views 5490 

    학자들의 진화론 논쟁 <다윈의 식탁>

  13. No Image 17Jan
    by 운영자
    2008/01/17 by 운영자
    Views 5957 

    프리고진 "혼돈으로부터의 질서"

  14. No Image 19Apr
    by 운영자
    2009/04/19 by 운영자
    Views 6184 

    프래그머티즘의 진짜 의미는?

  15. No Image 14Feb
    by 운영자
    2009/02/14 by 운영자
    Views 6225 

    풀러신학교 리처드 마우 총장

  16. No Image 08Dec
    by 관리자
    2012/12/08 by 관리자
    Views 5505 

    페르시아 문명

  17. No Image 29Nov
    by 운영자
    2008/11/29 by 운영자
    Views 5237 

    티베트 사태의 근원

  18. No Image 04Feb
    by 운영자
    2004/02/04 by 운영자
    Views 4619 

    퇴색하지 않는 아름다움, 늦봄 문익환 -오마이뉴스

  19. No Image 22Nov
    by 운영자
    2007/11/22 by 운영자
    Views 5326 

    퇴계가 26살 어린 고봉에게 잘못을 시인하다

  20. No Image 16Oct
    by 운영자
    2004/10/16 by 운영자
    Views 7626 

    토론토 한울연합교회, 하이파크교회로 개명

  21. No Image 16Mar
    by 관리자
    2012/03/16 by 관리자
    Views 4048 

    탈북자 죽이는 진짜 '어둠의 세력'을 고발한다!

  22. No Image 06Jan
    by 운영자
    2004/01/06 by 운영자
    Views 8814 

    콘스탄티노플 지도

  23. No Image 16Dec
    by 운영자
    2009/12/16 by 운영자
    Views 11314 

    캐런 암스트롱_강의

  24. No Image 18Dec
    by 운영자
    2008/12/18 by 운영자
    Views 6991 

    캐나다한인연합교회

  25. No Image 10Jan
    by 운영자
    2007/01/10 by 운영자
    Views 6466 

    캐나다연함교회의 한국 결연단체들

  26. No Image 02Jul
    by 운영자
    2009/07/02 by 운영자
    Views 5507 

    캐나다 한인 목회자 시국선언

  27. No Image 03Apr
    by 운영자
    2010/04/03 by 운영자
    Views 7070 

    캐나다 이민자들의 애환

  28. No Image 16Oct
    by 운영자
    2007/10/16 by 운영자
    Views 6460 

    캐나다 연합교회 한글 소개 싸이트 (역사 및 활동)

  29. No Image 02May
    by 운영자
    2008/05/02 by 운영자
    Views 4894 

    친일부역 회개, 개신교 신뢰회복의 길`

  30. No Image 05Dec
    by 관리자
    2012/12/05 by 관리자
    Views 8651 

    최초 한국인 무슬림은 누구일까?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