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62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장 악명 높은 무신론자는 어떻게 전향했나’
‘무신론 주창’ 앤서니 플루 ‘신은 있다’ 고백…도킨스 “슬프다”

김외현 기자

영국의 철학자 앤터니 플루(82·사진)가 27살이던 1950년에 옥스퍼드의 한 학회에서 발표한 <신학과 위증성>은 무신론자들의 ‘교과서’적 저술로 꼽힌다. 그는 “신은 너무 모호한 개념”이라며 “신이 볼 수 없고, 만질 수 없고, 알 수 없는 대상이라면, 신이 없다는 것을 증명할 순 없다. 그러나 신이 있다는 것도 증명할 수 없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러나 최근 그는 유신론 저술로 화제에 올랐다. 이번에 발간한 <신은 있다>라는 제목의 책은 ‘세계에서 가장 악명 높은 무신론자가 어떻게 생각을 바꿨는지’라는 부제를 달았다.

영국의 철학자 앤서니 플루

플루는 이 책에서 전도사의 아들로 태어난 자신이 감리교 신학학교를 거치며 무신론자가 된 과정과, 평생 신앙생활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다가 노년에 유신론으로 돌아서게 된 과정을 1인칭 시점에서 서술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이 책이 “자연의 법칙은 우연으로 보기에 너무 완벽하다”는 식으로 종교적 신념의 ‘과학’에 대해 서술한다고 보도했다.

2004년 말부터 플루는 ‘변절’ 혹은 ‘전향’의 모습을 보여왔지만, 기독교인이 된 것은 아니다. 그는 “자신과 세계의 존재를 동시에 설명할 수 있는 지성(지적 설계자)을 믿을 뿐”이라고 설명한다. 플루에게서 학문적 영향을 받은 무신론자들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여왔다. <만들어진 신>의 저자 리처드 도킨스는 지난해 한 강연에서 “그는 한때 훌륭한 철학자였다. 슬프다”라고 말했다. 프로메테우스 북스 출판사의 폴 커츠 사장은 “무신론을 우려하는 기독교인들이 플루를 잘못 이용하고 있다”고 종교 세력을 비난했다. 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http://www.hani.co.kr/arti/culture/religion/248376.html
?

Title
  1. 영생교관련기사

    Date2003.10.21 By운영자 Reply0 Views6195
    Read More
  2. 풀러신학교 리처드 마우 총장

    Date2009.02.14 By운영자 Reply0 Views6225
    Read More
  3. “이주외국인 120만 다문화사회…교육이 통합열쇠”

    Date2010.12.20 By관리자 Reply0 Views6257
    Read More
  4. 조용기 목사, `기독교에만 구원 있다는 것 유아독존적인 생각`

    Date2004.05.26 By운영자 Reply0 Views6264
    Read More
  5. 가장 악명 높은 무신론자는 어떻게 전향했나’

    Date2007.11.06 By운영자 Reply0 Views6277
    Read More
  6. 베일 벗는 다빈치 코드의 `오푸스 데이`

    Date2006.04.17 By운영자 Reply0 Views6296
    Read More
  7. The blue eyed Pyongyang citizen

    Date2009.04.18 By운영자 Reply0 Views6314
    Read More
  8. [한겨레] 보도 그 뒤 예수도 말을 빼앗긴 시대

    Date2007.01.17 By운영자 Reply0 Views6316
    Read More
  9. 성경공부 안내

    Date2003.03.09 By문서선교회 Reply0 Views6320
    Read More
  10. 인공기 소각한 목사 `U대회, 인공기 게양 못하게 할 것` -오마이뉴스

    Date2003.08.20 By운영자 Reply0 Views6325
    Read More
  11. 촛불시위 뒤편 `반미` 음모 도사려 - 오마이뉴스

    Date2003.06.21 By운영자 Reply0 Views6330
    Read More
  12. “난 몇 개의 얼굴이 있다” 강상중 교수, 도쿄 탐색 책 내

    Date2013.04.24 By관리자 Reply0 Views6347
    Read More
  13. 종교학자 오강남 선생의 글 보기

    Date2007.10.30 By운영자 Reply0 Views6354
    Read More
  14. God in America 미국의 신

    Date2010.11.08 By관리자 Reply0 Views6367
    Read More
  15. `검은 불자` 늘어난다 - 캐나다 한국일보

    Date2003.09.11 By운영자 Reply0 Views6380
    Read More
  16. 일본 종교

    Date2008.01.09 By운영자 Reply0 Views6393
    Read More
  17. [알버타저널]캘거리 한인 연합교회 창립 25주년 기념예배 및

    Date2010.06.11 By사랑과정의 Reply0 Views6395
    Read More
  18. 히틀러 총애 여감독 리펜슈탈 101세로 사망

    Date2003.09.09 By운영자 Reply0 Views6400
    Read More
  19. [책과 삶]‘짐이 된다는 느낌’과 ‘좌절된 유대감’이 자살 욕구를 싹틔우는 근원

    Date2012.10.14 By관리자 Reply0 Views6405
    Read More
  20. 캐나다 연합교회 한글 소개 싸이트 (역사 및 활동)

    Date2007.10.16 By운영자 Reply0 Views6460
    Read More
  21. (알버타저널) 열린이민이야기 기사

    Date2010.07.30 ByElbowRiver Reply0 Views6461
    Read More
  22. 기독교여성상담소"교회내 성폭력 심각한 상황" - 한겨레

    Date2003.06.15 By운영자 Reply0 Views6463
    Read More
  23. Re: "올해 안에 평양으로..." '문익환 목사 시비' 서다

    Date2008.11.16 ByCharley C Park Reply0 Views6464
    Read More
  24. 논쟁으로 본 한국의 종교 8- 유교의 종교성 논쟁

    Date2003.05.03 By운영자 Reply0 Views6466
    Read More
  25. 캐나다연함교회의 한국 결연단체들

    Date2007.01.10 By운영자 Reply0 Views6466
    Read More
  26. “곽선희 목사도 빨갱이야!” -한겨레

    Date2003.03.04 By 운영자 Reply0 Views6470
    Read More
  27. [한겨레] 신사참배와 ‘사탄’의 탄생

    Date2007.01.12 By운영자 Reply0 Views6480
    Read More
  28. 개신교계 원로 강원룡 목사 오늘 별세

    Date2006.08.17 By운영자 Reply0 Views6513
    Read More
  29. 이슬람,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는가? - 오마이뉴스

    Date2003.09.24 By운영자 Reply0 Views6517
    Read More
  30. 2월에 프레드릭 더글라스를 기억하는 까닭은?

    Date2008.02.04 By운영자 Reply0 Views658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