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635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캐나다 라자이나 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로 있다가 은퇴 후 명예교수로 계시는 종교학자 오강남 선생님의 글들을 볼 수 있는 다음 카페를 소개합니다.

카페이름은 [길벗들의 모임]

http://cafe.daum.net/gilbud

이고 공개입니다. 회원이 아니라도 글을 열어 보실 수 있습니다.

특히 물소리, 미디어 기사라는 왼쪽 메뉴를 클릭해 보세요.


그 중 "신화" (myth)에 대한 글 한편을 퍼왔습니다.

神話에 대한 다섯가지 사실



‘단군이 신화적 인물이다’ ‘아브라함이 신화적 인물이다’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놀란다. ‘이들이 신화적 인물에 불과한 거짓 존재인가’라고.

이렇게 놀라는 데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이나 서양을 막론하고 ‘신화’라는 말은 ‘사실’ ‘진실’ ‘실재’ ‘진리’ 등의 말과 대조되는 말이라고 여긴다.

최근 한국에서도 논란이 되고 있는 신화에 대해 몇 가지 기본적인 사실들을 짚어봄으로써 신화에 대한 쓸데없는 오해를 불식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첫째, 신화는 본질적으로 역사적 사실과 직접 관계가 없다. 신화들은 ‘그때에’(in illo tempore)에 일어난 것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여기서 ‘그때’란 역사적 시간이 아니라 신화적 시간, 즉 ‘본래의 시간’(original time)으로서 우주나 인생이나 제도 등의 시원에 관계되는 시간이다.

둘째, 신화는 보통의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엄청난 진리를 표현하는 특수 표현 양식이다. 진리와 반대되는 개념이 아니라 진리를 실어내는 유용한 그릇인 셈이다. 신화를 깊이 들여다보면 그 속에 담긴 진리에 접할 수 있다. 신화에서 진실을 찾아내는 것을 ‘신화를 깸’ 혹은 ‘탈신화화’라 할 수 있다.

셋째, 어떤 신화가 거짓이냐 진실이냐 하고 따져서는 안 된다. 피카소가 그린 인물화 중 두 눈이 겹쳐져 있는 인간이 역사적 인물이냐 아니냐 하고 묻는 것은 그 그림을 감상할 줄 모른다는 뜻이다.

넷째, 신화는 일차적으로 우리에게 정보(information)를 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변화(transformation)를 주기 위한 것이다. 피카소가 그린 인간은 역사적으로나 생물학적으로나 가능할 수도 있고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내가 그 그림을 보고 ‘무엇을 깨닫게 되는가, 내면적 삶이 얼마나 더 풍요로워지는가’ 하는 것이다.

다섯째, 신화는 우리가 추구해야 할 시원적인 것을 암시하고 있다. 그래서 많은 종교에서는 ‘원시반본’을 이야기하고 개천절이니 유월절이니 하면서 해마다 그리로 돌아가기 위한 제의(祭儀)나 절기를 지킨다.

우리는 단군 또는 아브라함의 신화에서 우리의 원형을 보고 우리의 오늘을 더욱 의미 있게 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함을 알고 있다.

오강남 캐나다 리자이나대학교 종교학과 교수
?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215 가장 악명 높은 무신론자는 어떻게 전향했나’ 운영자 2007.11.06 6277 2007.11.06
214 조용기 목사, `기독교에만 구원 있다는 것 유아독존적인 생각` 운영자 2004.05.26 6264 2004.05.26
213 “이주외국인 120만 다문화사회…교육이 통합열쇠” 관리자 2010.12.20 6257 2010.12.20
212 풀러신학교 리처드 마우 총장 운영자 2009.02.14 6225 2009.02.14
211 영생교관련기사 운영자 2003.10.21 6195 2003.10.21
210 불교학 연구를 위한 언어적 지침. 정진형 2003.10.21 6189 2003.10.21
209 프래그머티즘의 진짜 의미는? 운영자 2009.04.19 6184 2009.04.19
208 진화론과 창조론 논쟁 운영자 2008.01.31 6168 2008.01.31
207 [한겨레] “주여 제가 빨갱이 목사입니까” 운영자 2007.01.12 6158 2007.01.12
206 조용기 목사도 에큐메니칼 운동하는가 (1) 운영자 2007.09.25 6154 2007.09.25
205 "올해 안에 평양으로..." '문익환 목사 시비' 서다 플로렌스 2008.11.11 6139 2008.11.11
204 차이와 다름 넘어 ‘큰나’ 구하라 운영자 2006.04.21 6132 2006.04.21
203 “인간이 초월적 존재 창조” 경건한 무신론자 포이어바흐 운영자 2004.03.22 6124 2004.03.22
202 찬송가 전곡 듣기 운영자 2009.04.05 6078 2009.04.05
201 동성결혼 반대 `도시속의 예수` - 캐나다 한국일보 운영자 2003.09.11 6036 2003.09.11
200 [이란 대통령 편지 완역] 조지 부시 미 대통령에게 운영자 2006.05.10 6033 2006.05.10
199 WCC, `폭력 감시 집중 대상`으로 미국 지목 운영자 2003.09.07 6021 2003.09.07
198 한기총, [크리스챤신문]을 이단 사이비 옹호언론으로 규정 운영자 2003.09.07 6020 2003.09.07
197 나일문명 기행 관리자 2012.12.08 6015 2012.12.08
196 지옥에 간 테레사 수녀- 오강남 교수 퍼온 글 운영자 2003.06.23 5977 2003.06.23
195 아시아 예술사 연구 운영자 2009.03.14 5968 2009.03.14
194 미얀마 땅밟기 파문, 네티즌 "미치려거든 한국에서 미치시오" 관리자 2010.10.26 5961 2011.04.02
193 프리고진 "혼돈으로부터의 질서" 운영자 2008.01.17 5957 2008.01.17
192 문동환 인터뷰_2 관리자 2011.01.22 5953 2011.01.22
191 교황의 '에이즈-콘돔' 발언, 국제사회로 파문 확산 운영자 2009.03.18 5948 2009.03.18
190 911_그리핀 운영자 2009.05.09 5945 2009.05.09
189 조용기 목사 “다빈치코드 상영 반대” 운영자 2006.04.16 5893 2006.04.16
188 리처드 도킨스 BBC 인터뷰 운영자 2008.02.18 5880 2008.02.18
187 "우리는 모두 '불가촉천민'이다" 운영자 2009.03.14 5879 2009.03.14
186 긍정의 힘 어디로?-로버트 슐러 관리자 2010.10.29 5864 2011.04.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