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44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종교인 이전에 ‘가족’임을 되새겨야

http://www.hani.co.kr/arti/happyvil/happyvil_news04/97573.html

▲ 설이나 추석 등 명절 때 ??다른 종교를 가진 가족들이 모이다 보면 차례 문제를 놓고 의견차를 보이기도 한다. <한겨레> 자료사진

다른 종교 가족간 명절 나기
설 연휴가 3일 앞으로 다가왔다. 가족들이 모처럼 만에 함께 하는 명절에 부모·자식, 형제·자매간 다른 종교적 문화로 인해 갈등을 빚는 집이 적지 않다. 불과 100여년 만에 서구 종교문화가 안방 깊숙이 들어와 전 세계적으로도 드문 다종교 사회가 돼 가족간 이종교가 많아졌다. 어찌 보면 한국만의 특수성이기도 하다. 그런데도 명절 때 가족들이 한 자리에 모이는 전통은 달라지지 않았다. 따라서 모처럼 함께 한 가족 중 자신의 종교만을 내세우는 이가 있으면 가족 간 반목을 야기하거나 자칫 서먹해질 수 있다.

1년 만에 만난 가족들의 차례상 앞 갈등

서울에 사는 직장인 정명진(42)씨는 즐겁기만 하던 고향길이 몇 년 전부터 부담스러워졌다. 5년 전부터 개신교 교회에 나가게 된 한 누나는 명절 때면 연로한 어머니가 차례상을 차리는 것에 대해 “귀신에게 무슨 제사냐”며 싫은 소리를 했다. 정씨는 무종교인이고, 그의 아내는 1년에 몇 차례가량 절에 나가는 불자다. 그런데 누나는 가족들이 모인 자리에서 늘 “예수를 믿지 않으면, 지옥에 떨어지고, 예수를 믿어야 구원받고 천국 간다”며 전도에 적극적이다. 수십 년 전부터 교회에 나갔던 다른 형제·자매들은 명절날이면 가급적 종교보다는 공통의 얘기를 화제 삼아 덕담을 나누지만, 그 누나는 달랐다. 그 누나의 말을 듣다 못한 정씨가 반론을 펴게 되면 그 때부터 가족의 분위기는 썰렁해지기 시작한다. 정씨는 “1년 만에 한 두 번 얼굴만 봐도 좋기만 하던 누나로부터 매번 자신의 문화와 종교를 강요당하다 보니, 명절 때가 돼도 마주 대하는 게 부담스럽기만 하다”고 말했다.

자신의 종교만 내세우면 분위기 서먹해지기 십상
다른 종교 비방 삼가고 덕담 나누며 서로 이해해야


경기도 안양에서 교회에 다니는 직장인 박지환(45)씨의 형제 자매들도 개신교, 가톨릭, 불교, 무종교로 각양각색이다. 그러나 종교 때문에 갈등을 빚는 경우는 거의 없다. 어머니는 종교가 다른 자식들을 배려한 때문인지 새벽 일찍 혼자서 차례상을 차렸다가 치우는 경우가 많고, 차례상을 본 가족들도 대부분이 차례상을 고유한 전통으로 인정하는 편이다. 또 “자기도 모르게 다른 종교나 성직자에 대한 비방이 입 밖에 나올 때 분위기가 썰렁해지는 경우도 있어, 가족들이 함께 모여 대화할 때는 가급적 다른 종교에 대한 비방은 삼가고 덕담을 해주려 애쓴다”고 했다.

종교인이 안내하는 기쁜 명절 맞이

◇ 불교단체 정토회 박석동 기획실장= 명절 때 왜 가족들이 만나는가. 자기 종교를 내세우기 위함이 아니다. 종교 때문에 모인 게 아니고, 단지 가족이기에 모인다는 것만 분명히 알아도 종교로 인해 갈등을 빚지는 않는다. 갈등이란 ‘내가 옳다’는 생각 때문이다. ‘나만 옳다’는 아집을 내려놓을 때 진정한 가족으로 만날 수 있다. 불교가 관용의 종교라고 하면서도 의외로 더 아집이 심한 경우에 많다. 이에 대해 불자들이 스스로 성찰해야 한다. 부처님이 법당 안에만 있는 게 아니고, 십자가를 단 그리스도인이나 무종교인으로 있다고 여긴다면, 다른 종교나 문화의 차이에 대해 심한 거부감을 드러내지 않을 것이다.

◇ 서울 신수동 성당 주임 김민수 신부= 가톨릭은 우리 나라에 들어온 초기에 제사를 반대해 많은 박해를 받았지만 오래 전부터 조상 제사를 허용한다. 성묘도 자연스럽게 하고 있다. 가족과 친척들이 모인 자리에선 다른 종교에 대해 배타적으로 대해선 곤란하다. 자기 종교만 생각하는 근본주의적 입장보다는 다른 종교도 이해하는 자세가 바람직하다.

◇ 서울 천호동교회 홍순원 목사= 개신교인들이 갈등을 빚는 것은 대부분 제사 때문이다. 그러나 개인적으론 제사를 하나의 문화로 받아들이고 조상묘에 절도 하게 한다. 조상을 주신 하나님을 공경하는 예배로 승화시키는 게 제사의 참뜻으로 본다. 우상 숭배란 제사와 같은 전통 문화가 아니라 ‘국가 이데올로기’나 ‘천황 숭배’같은 게 아닌가. 구약성서에서도 제사장이 제사를 지내고 제사 음식을 먹는다. 다른 종교인들을 모독하는 것은 종교인이기 이전에 ‘함께 하는’ 가족의 자세가 아니다. 가족과 이웃과 평화와 사랑을 나누는 것이야말로 가장 성경적인 삶이다.

조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

Title
  1. No Image 14Sep
    by 운영자
    2004/09/14 by 운영자
    Views 4561 

    어린이들을 위한 사이트 (연합교회 제공)

  2. No Image 17May
    by 운영자
    2005/05/17 by 운영자
    Views 4531 

    ‘강의석 도우미 목사’가 노점상된 사연

  3. No Image 03May
    by 운영자
    2004/05/03 by 운영자
    Views 4524 

    일부 교회 노동조건 야만·조폭 수준

  4. No Image 24Dec
    by 관리자
    2011/12/24 by 관리자
    Views 4516 

    뉴욕 스님들이 성탄예배 하러 교회에 간 까닭은?

  5. No Image 12Oct
    by 관리자
    2012/10/12 by 관리자
    Views 4506 

    전염성 탐욕

  6. No Image 26Oct
    by 관리자
    2010/10/26 by 관리자
    Views 4489 

    "봉은사 땅밟기 동영상, 무서웠다"

  7. 종교인 이전에 ‘가족’임을 되새겨야

  8. No Image 27Jul
    by 운영자
    2003/07/27 by 운영자
    Views 4474 

    동성애자 인권과 성공회 주교 서품 - 오마이뉴스

  9. No Image 30Jan
    by 관리자
    2012/01/30 by 관리자
    Views 4440 

    다시 중국에 조공을? 한반도의 미래는…

  10. "편지에 성경 구절 있거든 탈출한 것으로...

  11. No Image 13May
    by 운영자
    2005/05/13 by 운영자
    Views 4386 

    “’주기도문’에 ‘아버지’는 성차별적 표현”?

  12. No Image 29Oct
    by 관리자
    2010/10/29 by 관리자
    Views 4362 

    땅 밟기, 대적 기도 그리고 영적 전쟁의 진실

  13. No Image 25Apr
    by 운영자
    2003/04/25 by 운영자
    Views 4360 

    주변에 품위없는 성직자 많다” 53% - 한겨레

  14. No Image 16Jun
    by 김창한
    2005/06/16 by 김창한
    Views 4353 

    목적이 이끄는 삶? (1)

  15. No Image 12Feb
    by 관리자
    2013/02/12 by 관리자
    Views 4316 

    교황 사임, 나이나 건강 때문이라 믿기 어려운 이유

  16. No Image 12Jul
    by 관리자
    2011/07/12 by 관리자
    Views 4302 

    미국이 파산한다면 믿을 사람 있나?

  17. No Image 21Dec
    by 운영자
    2004/12/21 by 운영자
    Views 4273 

    국가보안법은 왜 폐지되어야 하는가?

  18. No Image 15Apr
    by 운영자
    2004/04/15 by 운영자
    Views 4228 

    수구 기독교인들: `친미·반북`이 곧 하나님의 뜻

  19. No Image 20Nov
    by 관리자
    2012/11/20 by 관리자
    Views 4223 

    구도자들이 꿈꾸는 땅 '둔황'

  20. No Image 03Oct
    by 관리자
    2012/10/03 by 관리자
    Views 4220 

    지옥같은 중세에 살던 여성에게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존재 ‘마녀’

  21. No Image 24Apr
    by 운영자
    2003/04/24 by 운영자
    Views 4206 

    미국을 당혹케 하는 ‘시아파의 힘’ -프레시안

  22. 조용기 목사 WCC 반대, 한기총 지지 입장 표명

  23. No Image 08Jun
    by 운영자
    2005/06/08 by 운영자
    Views 4167 

    정년퇴임하는 김경재 한신대 교수

  24. No Image 21Aug
    by 관리자
    2011/08/21 by 관리자
    Views 4159 

    부끄럽게도 선관위 감시 받는 ‘정치 교회’들

  25. 에런라이크의 <긍정의 배신>

  26. No Image 22Sep
    by 관리자
    2012/09/22 by 관리자
    Views 4157 

    새 대가리? 새들도 장례식에서 슬피 운다

  27. No Image 08Sep
    by 관리자
    2012/09/08 by 관리자
    Views 4155 

    "독도는 우리 땅" 외칠 때 피눈물 흘리는 사람들!

  28. No Image 22Sep
    by 관리자
    2012/09/22 by 관리자
    Views 4143 

    기독교계 '예수 결혼설' 논쟁 다시 불붙나

  29. No Image 22Sep
    by 관리자
    2012/09/22 by 관리자
    Views 4136 

    문선명 총재 별세 일주일..'왕자의 난' 재발하나

  30. 고문·학살도 용서하는 하나님 위 ‘상 하나님’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