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49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기사섹션 : 사건/판결 등록 2004.05.21(금) 18:57


양심적 병역거부 무죄선고 파장

헌재 위험심판까진 논란 계속
"대체복무제 도입" 목소리…국방부·검찰 반발
21일 군입대 등을 거부한 여호와의 증인 신도 3명에 대해 사법사상 초유의 무죄 판결이 내려짐으로써 뜨거운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양심적 병역거부 운동을 끌어가는 쪽에서는 판결을 환영하면서 차제에 대체복무제를 추진하자고 나섰고, 검찰과 국방부 쪽에서는 ‘국가 존립을 위태롭게 하는 일’이라며 당장 항소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 “양심과 병역 중 양심이 우선”=이번 판결 취지는 병역의 의무와 양심의 자유 사이에 충돌이 벌어질 경우, 양심의 자유가 우선한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병역거부자가 신앙이나 신념 등 양심의 자유에 따른 것임을 입증할 수 있다면 병역을 피할 수 있는 현행법상의 ‘정당한 사유’가 된다고 판시한 것이다. 이에 대해 외아들이 양심적 병역거부로 3년 실형을 산 양지운(57·성우)씨는 “재판부가 양심적 병역거부와 이기적 병역기피를 명확하게 구분함으로써 양심적 병역거부가 허용되면 군대에 안 가려는 사람이 많아질 거라는 세간의 우려를 깨끗이 씻어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판단은 1심 재판부의 판결에 불과한 것이어서, 앞으로 항소심과 대법원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속단하기는 이르다. 그동안 대법원에서는 종교적 신념 등에 의한 병역거부를 인정한 적이 한차례도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법원 판결 못지않게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금 진행 중인 헌법재판소의 위헌제청 심리에서 ‘대체복무의 길을 터놓지 않은 채 병역거부를 처벌할 수 있도록 한’ 현행 병역법 조항에 대한 헌재의 판단이 어떻게 날지 주목되는 것이다.

이날 무죄선고를 받은 병역거부자들의 변호인인 김수정 변호사는 “양심적 병역거부자를 처벌토록 한 병역법에 대해 헌재가 조속히 위헌 결정을 내리고 대체복무제를 도입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재판부 또한 독일, 영국, 이탈리아 등 여러 나라에서 대체복무제를 인정하고 있다는 점을 예로 들며, ‘대체복무제 도입으로 양심적 병역거부 문제를 해결할 것’을 간접적으로 제안하기도 했다.

◇ “병역의무 형평성 위배”=공판을 진행한 검찰과 국방부는 이날 판결에 크게 반발하고 있다. 병무청은 “국가 존립을 위태롭게 하는 일”이라고 강하게 재판부를 비판하면서, “특정 종교에 대한 특혜 시비로 이어질 수 있다”는 현실적인 우려도 제기했다. 특정 종교인들만 병역을 피할 수 있다면 형평에 어긋난다는 논리다. 또 병무청은 “이번 무죄 선고로 종교를 합법적인 병역기피 수단으로 악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병무청은 검찰과 함께 즉각 항고할 뜻을 밝히면서 “헌법재판소 심리가 진행 중인 위헌법률 심판에서 최종 결정이 나오기 전까지는 병역거부자를 계속 처벌할 방침”임을 강조했다.


김영인 기자 yiye@hani.co.kr

http://www.hani.co.kr/section-005100030/2004/05/005100030200405211857272.html
?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125 국적은 한국인데 주민번호 없는 그들, 재일동포 관리자 2012.12.14 5798 2012.12.14
124 국민 ‘기독교집회’보도 지면사유화 논란 -미디어 오늘 운영자 2003.01.18 7757 2003.01.18
123 국가보안법은 왜 폐지되어야 하는가? 운영자 2004.12.21 4273 2004.12.21
122 구도자들이 꿈꾸는 땅 '둔황' 관리자 2012.11.20 4222 2012.11.20
121 교황청 ``다빈치 코드`, 예수를 팔지마라` 운영자 2006.04.18 5858 2006.04.18
120 교황의 '에이즈-콘돔' 발언, 국제사회로 파문 확산 운영자 2009.03.18 5948 2009.03.18
119 교황 사임, 나이나 건강 때문이라 믿기 어려운 이유 관리자 2013.02.12 4315 2013.02.12
118 교계언론, `애완견`인가 `감시견`인가 운영자 2003.03.01 5687 2003.03.01
117 광화문 기독교 집회에 대한 생각 운영자 2003.01.16 7306 2003.01.16
116 곽선희목사 뉴스후 동영상 운영자 2008.02.11 7188 2008.02.11
115 과학과 창조과학 운영자 2008.12.18 5241 2008.12.18
114 고작 '햄버거' 하나 던져주고 '퍼주기'라니!" 관리자 2011.06.14 4850 2011.06.14
113 고문·학살도 용서하는 하나님 위 ‘상 하나님’ 3 관리자 2012.01.23 4129 2012.01.27
112 계시_미니 씨리즈 운영자 2009.12.16 5710 2009.12.16
111 경고문(시온산) CHUNG 2003.04.02 5401 2003.04.02
110 검찰, 오웅진 신부 언제 소환하나/ 천주교계 `오신부 구명 로비` 논란 운영자 2003.02.16 8247 2003.02.16
109 개신교와 친미주의- 오마이 뉴스 운영자 2003.01.11 9427 2003.01.11
108 개신교계 원로 강원룡 목사 오늘 별세 운영자 2006.08.17 6513 2006.08.17
107 개신교, 영화 `다빈치코드` 상영 반대 나서 운영자 2006.03.13 5251 2006.03.13
106 개신교 성차별 곪아터졌다 운영자 2003.12.09 5289 2003.12.09
105 개신교 새 찬송가 문제로 또 ‘시끌’ 관리자 2012.07.24 4016 2012.07.24
104 강기훈 “저는 여전히 1991년도에 살고 있어요” 관리자 2012.10.03 4113 2012.10.03
103 가족 위해 헌신했지만, 돌아온 건 '췌장암' [서평] 김인선의 <내게 단 하루가 남아있다면> 1 관리자 2011.11.22 7733 2011.12.07
102 가장 악명 높은 무신론자는 어떻게 전향했나’ 운영자 2007.11.06 6277 2007.11.06
101 日기독교 ‘한일합방’ 찬반 팽팽…우치무라 간조 “조선은 일본 이기는 기독 국가 돼라” 운영자 2010.03.01 8405 2010.03.01
100 故 문익환 목사 부인 박용길 장로 별세 1 관리자 2011.09.26 5548 2011.09.27
99 ㄷ성도회 집단생활 어떻게 - 한겨레 운영자 2003.05.16 4839 2003.05.16
98 “인간이 초월적 존재 창조” 경건한 무신론자 포이어바흐 운영자 2004.03.22 6124 2004.03.22
97 “이주외국인 120만 다문화사회…교육이 통합열쇠” 관리자 2010.12.20 6257 2010.12.20
96 “예수천국 불신지옥 전도 당혹스럽다” 운영자 2007.05.02 6699 2007.05.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