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61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기사섹션 : 토론과 논쟁 등록 2004.03.01(월) 18:42


“인간이 초월적 존재 창조” 경건한 무신론자 포이어바흐

포이어바흐는 종교 비판가로서 당대의 기독교 신학자들에 의해 격렬한 비판을 받아야 했다. 이미 26살에 익명으로 <죽음과 불멸에 대한 사유>라는 책을 펴낸 바 있는데, 여기서 포이어바흐는 영혼불멸에 대한 믿음을 공격했으며 경건한 신앙의 소유자를 조롱하기도 한다. 이 ‘불경스런’ 책은 기독교의 권위가 서슬 퍼렇게 엄존하던 당시의 상황에서 곧바로 금서가 돼 압류 조처를 당했다. 이 책의 저자임이 밝혀지면서 포이어바흐는 발군의 학문적 역량에도 불구하고 교수직을 단념한 채 재야학자로 평생을 보내야만 했다.
포이어바흐에 대한 당대 신학자들의 거친 거부의 몸부림에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었다. 그의 종교비판은 종교의 근간을 뒤흔들 만큼 근본적인 것이었다. 포이어바흐 이전의 종교비판은 종교를 단순히 사제들의 기만행위라든가 우민화, 또는 미신으로 간주했다. 포이어바흐는 이러한 시각을 벗어나 종교적 현상을 좀 더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의 출발점과 귀결은 다름 아닌 인간이었다. “동물과 구별되는 인간의 본질이 종교의 근거일 뿐만 아니라 대상이기도 하다. 그런데 종교는 무한한 것에 대한 의식이다. 그러니까 그것은 다름 아니라 인간이 자신의… 무한한 본질에 대해 갖는 의식이다.” 포이어바흐는 종교를 “인류의 유아적 본질”이라 부르기도 했는데 이는 인간이 자신의 본질을 직접적으로가 아니라 자신의 외부에 설정한 신이라는 존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인식하는 단계에 놓여 있다는 것을 표현하는 말이다. 절대적 이성, 무한성, 사랑 등 신의 속성으로 여겨지는 것들은 포이어바흐에 따르면 실제로는 개인적 한계를 초월한 인류의 본질일 뿐이다. 성경의 설명과는 정반대로 “인간이 자신의 모습에 따라 신을 창조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종교의 비밀을 푸는 열쇠는 바로 인간이다. 인간은 “자신의 본질을 대상화한 후 다시 스스로를 이렇게 대상화된 본질의 객체로 만든다.”

포이어바흐가 추구했던 것은 그가 한 강의에서 학생들에게 말했듯, 사람들을 “신의 벗으로부터 인간의 벗으로, 믿는 자로부터 사유하는 자로, 기도하는 자로부터 일하는 자로, 내세의 후보자로부터 현세를 공부하는 자로, 자신이 반은 짐승이고 반은 천사라 고백하는 기독교인으로부터 인간, 그러니까 전적인 인간으로 만드는 일”이다. 포이어바흐의 무신론은 종교와 신을 단순히 부정하고 파괴하는 데 있지 않았다. 그는 초월적 존재의 속성이라 여겨진 것들을 인류와 자연에로 되돌려 주고자 했으며 그 속에 투영된 인간의 소망을 이 땅에 실현하는 것이 인류사적 과제라고 확신했다. 이러한 믿음은 그에게 “경건한 무신론자”란 비아냥을 안겨주기도 했으나 다른 한편으로 “신학의 육신에 박힌 말뚝”(칼 바르트)으로서 기독교의 자기반성 과정에 촉매역할을 한다.

주정립/호남대 연구교수, 정치학

http://www.hani.co.kr/section-001065000/2004/03/001065000200403011842323.html
?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215 `외계인 해부 비디오` 제작자 자백, 세기의 미스터리 풀려 운영자 2006.04.06 7463 2006.04.06
214 조용기 목사 “다빈치코드 상영 반대” 운영자 2006.04.16 5893 2006.04.16
213 베일 벗는 다빈치 코드의 `오푸스 데이` 운영자 2006.04.17 6296 2006.04.17
212 교황청 ``다빈치 코드`, 예수를 팔지마라` 운영자 2006.04.18 5858 2006.04.18
211 ‘다빈치 코드’ 위험한 이유 따로 있다 운영자 2006.04.21 5596 2006.04.21
210 차이와 다름 넘어 ‘큰나’ 구하라 운영자 2006.04.21 6132 2006.04.21
209 [이란 대통령 편지 완역] 조지 부시 미 대통령에게 운영자 2006.05.10 6033 2006.05.10
208 신영복 교수, 대학강단의 마지막 강의 운영자 2006.06.08 6987 2006.06.08
207 1966년, 한인연합교회의 창립과 이상철목사 운영자 2006.07.01 7290 2006.07.01
206 목적이 분명하고, 건강한 교회가 성장한다` 운영자 2006.07.14 5836 2006.07.14
205 개신교계 원로 강원룡 목사 오늘 별세 운영자 2006.08.17 6513 2006.08.17
204 미국, 기독교 국가라 부르지 말라` 운영자 2006.08.30 7213 2006.08.30
203 현각스님, 금강경 강의 열두강좌 운영자 2006.09.03 8319 2006.09.03
202 Biship John Shelby Spong의 멋진 강의 운영자 2006.09.03 6996 2006.09.03
201 911과 네오콘 어젠다 운영자 2006.10.24 7502 2006.10.24
200 연합교회 인터넷 WonderCafe 운영자 2006.12.14 6865 2006.12.14
199 캐나다연함교회의 한국 결연단체들 운영자 2007.01.10 6466 2007.01.10
198 [한겨레] 신사참배와 ‘사탄’의 탄생 운영자 2007.01.12 6480 2007.01.12
197 [한겨레] “주여 제가 빨갱이 목사입니까” 운영자 2007.01.12 6158 2007.01.12
196 [한겨레] 보도 그 뒤 예수도 말을 빼앗긴 시대 운영자 2007.01.17 6316 2007.01.17
195 점집 신풍속도…`예언자` 에서 `조언자`로 마리앤느 2007.03.18 6990 2007.03.18
194 생명의삶 두란노 큐티세미나안내. 몬트리올 교회 협의회 2007.04.26 7227 2007.04.26
193 “예수천국 불신지옥 전도 당혹스럽다” 운영자 2007.05.02 6699 2007.05.02
192 조용기 목사도 에큐메니칼 운동하는가 (1) 운영자 2007.09.25 6154 2007.09.25
191 조용기 목사도 에큐메니칼 운동하는가 (2) 운영자 2007.09.25 6689 2007.09.25
190 어느 성공회 사제의 고백 운영자 2007.10.01 7202 2007.10.01
189 성스런 찬송가가 ‘일제군가’였다니… 운영자 2007.10.08 7109 2007.10.08
188 캐나다 연합교회 한글 소개 싸이트 (역사 및 활동) 운영자 2007.10.16 6460 2007.10.16
187 종교학자 오강남 선생의 글 보기 운영자 2007.10.30 6354 2007.10.30
186 가장 악명 높은 무신론자는 어떻게 전향했나’ 운영자 2007.11.06 6277 2007.11.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