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375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Ancient Language Lives On

[LEAD-IN]

1. In his new film, the "Passion of Christ", Mel Gibson takes movie-goers back in time by having his actors speak the languages of the day. And what is Aramaic? A language developed centuries before the birth of Jesus and as Rula Amin found out, it is still around centuries after.
[앵커]

1. 멜 깁슨이 제작한 영화 <그리스도의 수난>에서는 배우들이 그리스도가 탄생하기 몇 세기 전부터 사용됐던 고대 언어인 아람어를 사용합니다. 이 아람어가 아직도 사용되는 곳이 있다고 합니다.


[STORY]

2. In Mel Gibson's new movie, the Passion of the Christ, the story of Jesus' last hours on earth. What they will experience is a film shot entirely in Latin and Aramaic, a language that has barely survived.
[리포트]

2. 멜 깁슨의 새 영화 <그리스도의 수난>은 예수의 마지막을 그린 것입니다. 특이한 것은 영화가 전부 지금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 라틴어와 아람어로 촬영됐다는 점입니다.


3. But here in Maaloula, most of the 5,000 residents speak the language. They are among the very few people left on earth who still actually converse in the ancient language. In school here, the children learn Arabic, the official language in Syria. But as they leave their classrooms, they switch to Aramaic. We do a field survey. How many of them can speak Aramaic? It's hard to be accurate, but it's safe to say a pretty high percentage do. But the youngsters admit not all are fluent. It's difficult to be.
3. 그러나 시리아의 말룰라 마을 주민 5천 여 명은 이 고대 언어를 여전히 사용하고 있는, 지구 상 얼마남지 않은 지역 중 한 곳입니다. 학교에서 아이들은 국가의 공식 언어인 아랍어를 배웁니다. 그러나 학교 문을 나서면 아람어를 사용합니다. 거리에서 얼마나 많은 아이들이 아람어를 하는 지 조사해봤습니다. 정확한 수는 알 수 없지만 꽤 많은 아이들이 아람어를 했습니다. 물론 다들 능숙하게 잘 하는 편은 아닙니다.


4. Aramaic was at its height in the 10th century BC, but it wasn't a national language. It was the language of traders, much like English is the language of commerce today. Slowly, it was replaced by other languages, especially after the Arabs conquered this region more than 1400 years ago. Arabic became the dominant language, but not in Maaloula.
4. 아람어는 기원전 10세기에 최고 절정기를 이뤘지만 공식 국가어로 지정되지는 않았습니다. 오늘날 영어처럼 무역 상인들이 사용하던 언어였습니다. 천4백년 전 아랍 정복 이후 아람어는 서서히 자취를 감추기 시작했습니다. 아랍어가 공식 언어가 됐지만 말룰라에서는 아닙니다.



5. There are different theories that attempt to explain how the people here manage to preserve such an ancient language. One theory says it's the remote and isolated location of Maaloula which protected it from outside influence.
5. 아람어가 어떻게 이곳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는 지에 대해선 몇 가지 가설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말룰라가 지형적으로 외지고 고립돼있기 때문에 외부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설명입니다.

6. Most people here can speak Aramaic, but nobody knows how to write it, except this man. Georgerus Ala is a teacher of Arabic whose passion is Aramaic. He has worked for years to document an Aramaic alphabet so that people can start reading and writing Maaloula's own dialect of Aramaic. It's all based on his personal efforts. How accurate or scientific are his findings is not exactly clear, but he's trying. "This is our heritage", he says, "And people of this town must take care of it".
6. 주민들은 대부분 아람어를 할 줄은 알아도 쓰지는 못합니다. 유일하게 아람어를 쓸 수 있는 조지르스 알라 씨는 아랍어 교사로, 사람들이 아람어를 쓰고 읽을 수 있도록 아람어 알파벳을 추적하는데 오랜 시간을 들였습니다. 순전히 개인적인 관심에서 시작한 일이기 때문에 그 정확도를 과학적으로 입증하기는 힘들지만, 알라 씨는 포기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그는 이 유산을 보전할 필요가 있다고 말합니다.


7. Father Huri says what people speak here is the proper Aramaic. He hopes the movie gets it right. The film's dialect coach, a linguistic professor and Jesuit priest, says translating the movie was a labor of love with far-reaching benefits.
7. 마을 종교 지도자는 말룰라에서는 제대로 된 아람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영화 속에서 정확히 사용됐기 바란다고 말합니다. 영화에서 언어 지도를 맡았던 사람은 언어학자이자 예수회 목사로, 여러 유익한 결과를 예상하며 영화 작업에 임했다고 말합니다.


[Father William Fulco: Aramaic Expert]
"There are many Aramaic-speaking communities, specially those use for liturgy, Eastern Christians, so on, who have said to me, you know, "Aramaic lives! More Power to it". It's brought world attention to Aramaic and to the problems of the survival of the language."

For now at least, it lives another day.

Rula Amin, Maaloula, Syria.
[윌리엄 풀코, 아람어 전문가]
"아람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뿐 아니라 동방의 기독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아람어에 대한 세계의 관심을 높이는 계기될 겁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아람어는 하루하루를 연명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Explanation
7-1. a labor of love: (무보수로) 좋아서 하는 일, 사랑의 수고

7-2. liturgy: 전례, 전례식문, 기도서




http://www.ytn.co.kr/special/wi_mov_print.php?m_cd=0401&idx=1173&type=3
?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335 Pipelines, Indigenous Rights, and Climate Commitments 1 다중이 2016.05.22 429 2016.05.25
334 United Action for Justice: Health Care in Canada is Threatened! 다중이 2016.05.04 1115 2016.05.22
333 차별과 배제, 극우 정치의 두 날개 1 플로렌스 2016.04.22 529 2016.05.04
332 United Action for Justice: Climate Justice - Faithfully Responding 1 CCP 2016.04.03 391 2016.04.03
331 E-ssentials: Rise Again! CCP 2016.03.26 350 2016.04.03
330 Note from Nora: Awake to the signs of Resurrection CCP 2016.03.26 430 2016.04.03
329 내 안에 사는 이 (동영상) 1 꽃무늬 2016.02.28 264 2016.02.29
328 너의 하나님 여호와가 (동영상) 3 꽃무늬 2016.02.28 302 2016.02.28
327 주기도문 찬송 2 꽃무늬 2016.02.28 421 2016.03.17
326 E-ssentials: Shaping the Future CCP 2016.02.26 118438 2016.02.26
325 United Church Philanthropy News - God's Mission, Our Gifts: Tools to Nurture Church Giving! CCP 2016.02.18 1088 2016.02.21
324 Note from Nora: Sharing the Lenten Journey Together CCP 2016.02.17 326 2016.02.21
323 Let go and embrace new life 1 관리자 2016.02.13 253 2016.02.13
322 United Action for Justice: Climate Justice - Faithfully Responding CCP 2016.02.11 225 2016.02.16
321 어느 불량한 부부의 불량한 여행 관리자 2013.08.30 4850 2013.08.30
320 내가 죽으면 제사 지내지 말고 외식해라 관리자 2013.07.03 4772 2013.07.03
319 “난 몇 개의 얼굴이 있다” 강상중 교수, 도쿄 탐색 책 내 관리자 2013.04.24 6347 2013.04.24
318 실크로드의 금발미녀 미라, '유럽인'이라고? 관리자 2013.03.09 7159 2013.03.09
317 일, 한·일 청구권 계산 때 ‘강제동원 사죄·배상’ 뺐다 관리자 2013.02.19 5621 2013.02.19
316 이주자 경제 기여엔 ‘긍정’ 국민 수용엔 ‘부정’ 관리자 2013.02.12 5762 2013.02.12
315 교황 사임, 나이나 건강 때문이라 믿기 어려운 이유 관리자 2013.02.12 4315 2013.02.12
314 연간 수십억 달러 거래되는 해외 입양 시장 관리자 2013.01.24 5697 2013.01.24
313 국적은 한국인데 주민번호 없는 그들, 재일동포 관리자 2012.12.14 5798 2012.12.14
312 양희송의 <다시, 프로테스탄트> 관리자 2012.12.13 5429 2012.12.13
311 나일문명 기행 관리자 2012.12.08 6015 2012.12.08
310 페르시아 문명 관리자 2012.12.08 5498 2012.12.19
309 실크로드 문명 관리자 2012.12.08 4125 2012.12.19
308 이스라엘의 탄생 The Birth of Israel 관리자 2012.12.05 4598 2012.12.05
307 최초 한국인 무슬림은 누구일까? 관리자 2012.12.05 8644 2012.12.05
306 구도자들이 꿈꾸는 땅 '둔황' 관리자 2012.11.20 4222 2012.11.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