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533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선불교는 한국불교의 주류였고, 이것만이 중요한 것인가? 논자는 이 점

에서 상당히 많은 의문을 제기한다. 특히 한국 불교가 갖는 사회상에 대

해서는 선불교가 대승불교의 전통을 잇고 있는지에 대해서 심각한 의문

을 갖게한다.


선불교의 전통: 육조 혜능의 돈오만이 강조되었고, 한국의 조계종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더더욱 '돈오돈수'만이 강조되다 시피했다. 과연 한국

불교에서 돈오돈수가 가지는 사회적 의미는 무엇인가? 돈오돈수는 '단박

에 깨달아, 단박에 수행한다'는 하나의 수증론적 원리이다. 즉, 단박에

불교의 원리를 실천한다는 이야기인데, 과연 이 '단박'에 일어나는 과정

은 대승불교의 실천원리들을 포섭할 수 있을까?


이 문제에 대한 나의 대답은 부정적이다. 돈오돈수의 수증론은 왠지 수

행의 단계나 또한 방편의 중요성은 부정한다는 인상을 준다. '교외별

전', 그러니깐 '책을 보지마라'로부터 시작된 교학의 부정은 지적 욕구

를 추구하는 현대인들을 위한 방편을 부정하는 셈이 된다. '조사를 만나

면 조사를 죽이고,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여라!', 이는 수행의 궁극

적 단계에서나 가능한 것이지, 타력 신앙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불가능

한 이야기이다. 따라서 오직 화두만이 간화선만이 유일한 방법이 된다.

어떻게 보면 선불교적 수행은 연각, 즉 벽지불과 같은 자력적 깨달음에

의지한 소승적 수행법이 아닐까하는 조심스러운 의문을 제기해 본다. 다

시 말해 선불교는 기존의 대승의 전통들을 무시한채, 새로운 근본주의

적 전통을 이루고자 한 점이 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 대승의 보살행과 선사와의 양립 불가능성?

조사선을 강조하는 한국불교는 화두선을 수행하는 스님들이 승가의 중

심을 이룬다. 즉, 조사의 깨침을 이어받아 수행하는 승려들이 중심이

며, 재가자들은 이들을 따르며, 교학적 가르침 보다는 '깨침의 한 마

디'에 열광하고 그것을 쫓아간다. 물론, 그것이 한국불교의 중요한 맥

을 이루고 지금까지 이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점들이 우리에게 너무 과

장되어 전달된 것은 아닐까? 실제로 우리 불교의 현실을 살펴보자. 자리

적 선수행을 강조한 승단에도 재가 '거사'나 '보살'의 활약상은 실로 놀

랄만하다. 승단의 비판적 입장에도 불구하고 '거사'의 다른 모습은 재가

법사 및 포교사의 활동과 평여신도인 '보살'의 활약상은 한국 불교에서

대단하다. 따라서 승단은 자리, 초세속적인 선불교의 약점을 메우기 위

해서 재가자들의 활동을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재가신도들의 활

약은 실제로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그들은 화두를 들고 일반인들 앞에

다가서는가? 그렇지 않다. 진정한 재가자들이라면, 따뜻한 말 한마디와

진심어린 도움, 그리고 조금 불교에 친숙한 사람들이라면 교리적 가르침

으로 개인앞에, 혹은 대중앞에 다가선다. 그들은 실제로 의식하지 않을

지는 모르지만, 6바라밀(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이라는 실

천원리를 이어나간다. 6바라밀에서 보듯이 선정은 하나의 원리에 불과하

다. 그 보다 앞서있는 여러 선한 실천원리를 함께 나아가는 것이며, 대

중을 위해서 많은 방편을 쓰는 것이다.


대중을 위해서는 선불교의 주지적인 수증론과 더불어, 정서적 공감과

상대적인 사회적 관계를 중시하는 주정적인 보살의 실천행이 한국 불교

의 보다 더 큰 사회학적 의미임은 보다 더 고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215 "이런 '족벌 언론'이라면 한 번 가져보고 싶다" 운영자 2009.04.18 5127 2009.04.18
214 예수님 예수님 우리 예수님 운영자 2003.05.12 5163 2003.05.12
213 종교간 대화없이 세계평화 없다 운영자 2006.03.31 5191 2006.03.31
212 "광신도여! 예수를 더 이상 욕되게 말라" 운영자 2008.11.23 5197 2008.11.23
211 "이 책을 읽지 않고 이슬람을 논하지 말라" 운영자 2009.04.23 5216 2009.04.23
210 긴급체포된 연천 신도 `가혹행위 없어` 연합뉴스 - 연합뉴스 운영자 2003.05.16 5224 2003.05.16
209 `해원진혼굿` 에서 만난 일본 위안부 혼령들 운영자 2003.11.30 5237 2003.11.30
208 티베트 사태의 근원 운영자 2008.11.29 5237 2008.11.29
207 과학과 창조과학 운영자 2008.12.18 5241 2008.12.18
206 the Archbishops of Canterbury have been gay 운영자 2004.02.09 5242 2004.02.09
205 개신교, 영화 `다빈치코드` 상영 반대 나서 운영자 2006.03.13 5251 2006.03.13
204 영화 [다빈치 코드], 그 발칙한 도발을 즐기고 싶다 운영자 2006.03.19 5282 2006.03.19
203 개신교 성차별 곪아터졌다 운영자 2003.12.09 5289 2003.12.09
202 ‘다빈치 코드’ 보지 말라고? 운영자 2006.03.14 5289 2006.03.14
201 내가 만난 동성애자들의 반수가 기독교인입니다 - 퍼온글 또 펌 운영자 2003.07.30 5292 2003.07.30
200 김흥호 선생 중앙일보 인터뷰기사(2007.10.11) 이동진 2007.11.10 5298 2007.11.10
199 퇴계가 26살 어린 고봉에게 잘못을 시인하다 운영자 2007.11.22 5326 2007.11.22
198 ‘뉴스후’ 호화생활· 면세 성직자에 비판· 논란폭발 운영자 2008.01.27 5331 2008.01.27
» 한국불교는 선불교인가? 정진형 2003.10.22 5336 2003.10.22
196 "티베트, 낯선 진실과 마주하다" 운영자 2009.04.18 5338 2009.04.18
195 손봉호 교수 "한기총은 해체돼야 합니다" 관리자 2011.03.03 5339 2011.03.03
194 일본 지진은 '우상'과 '천황' 때문 관리자 2011.03.15 5340 2011.03.15
193 조용기 목사 "일본 대지진은 하나님 멀리한 탓" 관리자 2011.03.13 5357 2011.03.13
192 법정스님 30대에 쓴 시 5편도 공개 운영자 2010.04.17 5358 2010.04.17
191 종교단체 집단거주지서 주검 4구 발견- 한겨레 운영자 2003.05.16 5367 2003.05.16
190 스리랑카의 불교 법난사 운영자 2003.12.23 5394 2003.12.23
189 [`유다, 예수요구로 배반`..유다복음 일부 공개] 운영자 2006.04.06 5395 2006.04.06
188 경고문(시온산) CHUNG 2003.04.02 5401 2003.04.02
187 양희송의 <다시, 프로테스탄트> 관리자 2012.12.13 5431 2012.12.13
186 Religion in the Classroom -CBC News 운영자 2003.05.13 5434 2003.05.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