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76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단’ 생산의 뿌리 추적

나와 다르면 절대 불용 ‘이단’ 생산의 뿌리 추적
계간 ‘오늘의 동양사상’ 해법 모색

우리 사회는 별스럽게 이단 생산이 활성화한 사회다. 남북문제에서 대미관계, 보수와 진보, 종교, 계층과 연령, 노사와 외국인 노동자 문제 등에서 끊임없이 다른 사람과 경계짓기에 여념없고 나와 다른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 왜 그런 것이며, 해법은 무엇일까. 계간 ‘오늘의 동양사상’ 최근호(2003 가을 겨울호)는‘내 안의 타자’에 대해 도무지 자리를 비워주지 않는 우리 사회의 문제에 대해 그 역사적·종교적 뿌리와 해법 찾기에 나섰다.

오항녕(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조선시대사) 교수는 ‘유가의 이단, 이단인 유가’란 제목의 기고문에서 동양 사회에서의 이단적 사고는 공자와 맹자에서 이미 시작됐다고 밝힌다. 그러나 논어의 ‘위정(爲政)’에 ‘공호이단(攻乎異端)’이라 하여 ‘이단’이란 말이 등장하지만 우리가 서양에서 받아들인 ‘이단(heterodoxy)’의 음습한 개념과는 거리가 있는 ‘별것 아닌’ 것.

어느 정도 내용을 갖는 이단관은 맹자에서 등장하나 이것도 양주, 묵적, 진승 등 다른 세계관을 가진 학파와 논쟁하며 자기 정체성을 찾는 과정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이는 조선조에도 마찬가지여서 허목과 송시열의 예송논쟁이 극렬하게 진행될 때조차도 자기 안에 다른 것을 담을 용기와 자신감은 있었다.

더 이상 자기 안에 남을 받아들일 자신감이 없는 행위는 천주교 탄압에서 비로소 나타났다. 하지만 이는 유교 안의 문제라기보다 조선조를 지탱하던 이념이 말기 증상을 노정하면서 더 이상 다른 사상을 수용하거나 용인할 능력을 상실한데다, 또다른 사회·경제적 맥락이 있다고 오 교수는 말한다. 조선의 극심한 천주교 탄압에는 천주교에 선교나 탐험→경제적 침투, 군사적 침략→합병과 식민지화로 이어지는 근대 제국주의 확장의 첨병이라는 얼굴과 함께 왕정과는 양립하기 어려운 근대 민주정과 자본주의를 수반하는 종교 사상으로 유입된 배경이 있었다는 것이다.

‘우리 속의 이단’ 문제를 논의하면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은 한국 기독교(개신교)다. 한국종교문화연구소 장석만 연구실장은 유일신 종교로, 지적 신념의 측면과 진위판별을 가뜩이나 강조해온 기독교가 한국에 전파되면서 채택한 선교 전략이 우리 사회의 별난 이단 생산과 관련이 깊다고 주장한다. 유교나 불교에 대해서는 ‘결핍의 종교’ 혹은 종교가 아닌 윤리나 철학에 불과하다고 비하하면서 전통 종교에 대해서는 비합리적 미신이라고 비난하는 등 독선적 비타협적 정복주의의 태도가 이단 생산을 활성화시켰다는 분석이다. 문제는 기독교의 이런 이단관이 기독교뿐만 아니라 다른 종교와 사회에도 적지않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이단 문제의 해법과 관련, 고영섭(동국대 불교학) 교수는 “나와 다른 남을 인정하면 다른 것이 아름답다”고 강조하며 “이것이 있기 때문에 저것이 있고, 저것이 있기 때문에 이것이 있다”는 불교의 연기설을 들고 나온다. 이단은 나와 다른 남을 인정할 수 없기 때문에 비롯된 것으로 “나와 다른 모습, 나와 다른 생각, 나와 다른 조건 등을 인정하고 배려할 때 우리 속의 이단 혹은 타자라는 개념이 사라지게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문화, 김종락기자 jrkim@
--------------------------------------------------------------------------------
●신문게재일자 : 2003/09/15  ●입력시간 : 2003/09/15 09:55
?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275 미국, 기독교 국가라 부르지 말라` 운영자 2006.08.30 7213 2006.08.30
274 어느 성공회 사제의 고백 운영자 2007.10.01 7202 2007.10.01
273 곽선희목사 뉴스후 동영상 운영자 2008.02.11 7188 2008.02.11
272 실크로드의 금발미녀 미라, '유럽인'이라고? 관리자 2013.03.09 7159 2013.03.09
271 극동방송, `철없는 대통령` 설교, 뒤늦게 방송 운영자 2003.03.23 7156 2003.03.23
270 김홍도 목사 구명에 토론토 일부 목사들 참여- 토론토 인터넷 신문 운영자 2003.09.11 7144 2003.09.11
269 김홍도, 그는 누구인가? 운영자 2003.09.11 7115 2003.09.11
268 성스런 찬송가가 ‘일제군가’였다니… 운영자 2007.10.08 7109 2007.10.08
267 정진홍 교수 고별강연회 동영상 운영자 2003.03.30 7082 2003.03.30
266 캐나다 이민자들의 애환 운영자 2010.04.03 7070 2010.04.03
265 남의 교회 일에 왜 간섭하느냐!` 뉴스앤조이 운영자 2003.03.23 7070 2003.03.23
264 Bishop Spong Q&A on the Devil in the curriculum 운영자 2004.01.21 7040 2004.01.21
263 성탄절 교회에서 설교하는 법륜스님 "서로 다름이 풍요로움으로" 관리자 2011.12.24 7036 2011.12.24
262 재침례파 (재셰례파) Armish 운영자 2010.05.07 7008 2010.05.07
261 '심야 식당' 개업한 정신과 의사? 살짝 엿보니… 관리자 2011.04.17 6999 2011.04.17
260 Biship John Shelby Spong의 멋진 강의 운영자 2006.09.03 6996 2006.09.03
259 캐나다한인연합교회 운영자 2008.12.18 6991 2008.12.18
258 점집 신풍속도…`예언자` 에서 `조언자`로 마리앤느 2007.03.18 6990 2007.03.18
257 신영복 교수, 대학강단의 마지막 강의 운영자 2006.06.08 6987 2006.06.08
256 same-sex marriage 관련 웹사이트 운영자 2003.08.01 6987 2003.08.01
255 천주교 신자수가 부쩍 늘었다는데.. 2 관리자 2012.02.02 6979 2012.02.08
254 주일성수와 십일조 논의, 영원한 성역인가 운영자 2003.03.23 6972 2003.03.23
253 [책과 삶]한국계 외국인 손님의 눈으로 한국 사회의 천박함을 들여다 보다 관리자 2012.09.22 6881 2012.09.22
252 연합교회 인터넷 WonderCafe 운영자 2006.12.14 6865 2006.12.14
251 동성결혼 반대 `도시속의 예수` 행진 -토론토한국일보 운영자 2003.09.02 6753 2003.09.02
250 `이단시비` 박옥수 목사 성경세미나 - 캐나다 한국일보 운영자 2003.09.11 6738 2003.09.11
249 이 대통령, 무릎꿇고 통성기도 '눈길' 관리자 2011.03.03 6733 2011.03.03
248 미얀마를 점령한 한국 개신교도들 관리자 2010.10.27 6714 2010.10.27
247 “예수천국 불신지옥 전도 당혹스럽다” 운영자 2007.05.02 6699 2007.05.02
246 조용기 목사도 에큐메니칼 운동하는가 (2) 운영자 2007.09.25 6689 2007.09.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