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638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출처:
http://www.koreatimes.net/ta/03091192.html

Friday, September 12, 2003

'검은 불자' 늘어난다

美 전국 3천여명 추산...대부분 '이중종교'
보광사 LA분원 혜문스님 지역포교 앞장


미국내에서 불교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백인들 뿐 아니라 흑인 커뮤니티에서도 불교 신자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최근 인구 조사에 따르면 미국내 불교인구는 350 만명 정도로 이중 2천∼3천명이 흑인 신자로 추산된다.
남가주대학(Univ. of Southern California)의 불교관장 종매스님은 남부 LA 흑인 커뮤니티에 보광사 LA분원을 세우고 흑인들을 상대로 한국불교를 포교해온 선구자이자 거의 유일한 승려이다. 종매스님과 그가 불자로 만든 흑인 「혜문스님」을 만나 흑인 불교의 포교상황에 대한 얘기를 들어봤다.

종매스님이 흑인들을 상대로 포교에 나선 것은 지난 87년. 옷가지와 통조림, 양말 등을 집없는 사람들에게 나눠주며 포교를 시작할 당시 흑인들 대부분은 기독교 신자였고 불자라 하더라도 정통 불교가 아닌 일본 법화종 계통의 「남묘호랑개꾜(NSA)」 신자가 대부분이었다. 종매스님에 따르면 미국의 흑인 불자들은 불교의 원융함과 평화주의에 끌려 불교사찰에 나가는데 특히 신비적인 것과 율동적인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그들 정서에 맞는 티벳 계통의 불교를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흑인은 자신들의 생활과 밀착돼 있는 교회를 어떤 이유에서든지 떠날 수 없기 때문에 파트타임 또는 이중종교(Dual Religion)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보광사 분원의 법당 「신중단」 옆에 걸려있는 「마틴 루터 킹 목사」의 대형 사진은 흑인들의 정서를 확연하게 보여주는 것이라고 종매스님은 설명한다.

꾸준한 포교활동을 통해 그간 종매스님이 한국 불교에 귀의시킨 흑인은 대략 200명. 현재 보광사 분원 분원장을 맡고 있는 혜문스님(본명 모세 엔슬리)이 그의 수제자 격이다.

종매스님을 만나 한국 불교에 심취한 혜문스님은 지난 89년 지리산 화엄사에서 행자생활을 하고 사미계를 받아 현재 보광사 분원장에 이르렀다. 대학에서 동양철학을 부전공한 그는 자신의 집을 헌납해 사찰로 꾸밀 정도로 한국 불교에 남다른 열정을 보여왔다.

혜문스님은 지난 92년 4·29폭동 당시 흑인 지역신문에 「붓다의 자비」라는 제목으로 글을 실어 노여움에 불타고 있는 흑인들에게 「자비」를 강조했다. 현재 그는 사우스 센트럴 LA 지역에서 사회사업가로 활동하며 주로 고아들과 편부모 가정의 아이들을 위해 헌신하고 있다.

혜문스님은 『기독교에서는 갖가지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없어 불교에 귀의하게 됐다』며 『흑인 커뮤니티에 정통 불교의 본질을 알려나가고 불교에 궁금증을 가진 이들을 도와주고 싶다』고 말했다.

한편 종매스님은 백인과 흑인 커뮤니티에 불교를 전하기 위해서는 영어에 능숙한 승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혜문스님과 같은 미국인 승려가 미 주류사회 불교 포교에 큰 역할을 해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종매스님은 『흑인불자 대부분이 「파트타임」 또는 「이중종교」 신자라 할지라도 그들에게 진정한 중생의 삶을 선도하고 아낌없이 베풀어야 그들이 다음 생의 언약을 스스로 밝힐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65 극동방송, `철없는 대통령` 설교, 뒤늦게 방송 운영자 2003.03.23 7156 2003.03.23
64 실크로드의 금발미녀 미라, '유럽인'이라고? 관리자 2013.03.09 7160 2013.03.09
63 곽선희목사 뉴스후 동영상 운영자 2008.02.11 7188 2008.02.11
62 어느 성공회 사제의 고백 운영자 2007.10.01 7202 2007.10.01
61 미국, 기독교 국가라 부르지 말라` 운영자 2006.08.30 7213 2006.08.30
60 생명의삶 두란노 큐티세미나안내. 몬트리올 교회 협의회 2007.04.26 7227 2007.04.26
59 기저귀 차고는 목사 못된다` 운영자 2003.11.18 7230 2003.11.18
58 한인연합교회들 관리자 2010.09.24 7239 2012.03.10
57 1966년, 한인연합교회의 창립과 이상철목사 운영자 2006.07.01 7290 2006.07.01
56 7천년 `슈메르 고대문명` 모두 끝났다` (김상일 교수)-오마이 뉴스 운영자 2003.04.14 7305 2003.04.14
55 광화문 기독교 집회에 대한 생각 운영자 2003.01.16 7306 2003.01.16
54 '이단심문관'에서 골칫덩이로... 교황은 부시 후계자? 운영자 2009.04.12 7340 2009.04.12
53 진중권 기독교 비판 운영자 2010.01.17 7392 2010.01.17
52 [‘교회 性차별’이대론 안된다-上] ‘여성은 남성 보조자’ 역할 구조화 운영자 2003.12.09 7401 2003.12.09
51 Muslim Demographics 운영자 2009.12.16 7419 2009.12.16
50 `외계인 해부 비디오` 제작자 자백, 세기의 미스터리 풀려 운영자 2006.04.06 7463 2006.04.06
49 부시의 종교관 운영자 2003.03.14 7473 2003.03.14
48 911과 네오콘 어젠다 운영자 2006.10.24 7502 2006.10.24
47 봉은사 땅밟기 기도 관련 최바울 선교사 "땅밟고 기도하기가 뭐가 문제인가?" 관리자 2010.10.29 7505 2010.10.29
46 신앙지지하는 과학 운영자 2009.12.16 7520 2009.12.16
45 Enemies of Reason (이성의 적들) 운영자 2010.04.01 7541 2010.04.01
44 토론토 한울연합교회, 하이파크교회로 개명 운영자 2004.10.16 7626 2004.10.16
43 중국의 티베트인권 탄압 막고픈 리차드 기어 마음 외면한 한국불교 관리자 2011.06.29 7648 2011.06.29
42 ‘이단’ 생산의 뿌리 추적 운영자 2003.09.17 7675 2003.09.17
41 기도는 미국이 아닌 하나님께` -오마이뉴스 운영자 2003.01.30 7730 2003.01.30
40 가족 위해 헌신했지만, 돌아온 건 '췌장암' [서평] 김인선의 <내게 단 하루가 남아있다면> 1 관리자 2011.11.22 7733 2011.12.07
39 국민 ‘기독교집회’보도 지면사유화 논란 -미디어 오늘 운영자 2003.01.18 7757 2003.01.18
38 비극의 상업화, 홀로코스트-한겨레 21 운영자 2003.03.02 7784 2003.03.02
37 2580 위험한 땅밟기 관리자 2010.11.22 7874 2010.11.22
36 [CN드림]캘거리 한인 연합교회 창립 25주년 기념 예배드려 사랑과정의 2010.06.11 7896 2010.06.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