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436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주변에 품위없는 성직자 많다” 53%


한신대 신학연구소, 전국 일반인+개신교인 1천3백명 설문조사

이 땅에 가톨릭이 등장한 지 200년, 이어 개신교가 씨앗을 뿌린 지 120여 년. 전통적 불교-유교 국가로 내려오던 이 땅은 기독교를 맞아 엄청난 변화를 겪었다. 과연 개신교가 이 땅에 준 영향은 무엇이며, 국민은 개신교와 교인들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한신대 신학연구소가 24일 현대리서치연구소에 의뢰해 지난 2~3월 전국의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 개신교가 한국 근현대사의 사회·문화적 변동에 끼친 영향’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이 조사는 지금까지 눈치 보기식 조사들과 달리 개신교의 관점을 떠나 과감한 설문들을 포함시켜 눈길을 끈다.

조사자 가운데 종교인이 49.9%이고, 비종교인이 50.1%였다. 이 종교인 중엔 개신교인이 20.2%, 불자가 20.1%, 천주교인이 8.9%, 기타가 0.7%였다. 연구소는 이들 외에 따로 개신교인들은 300명을 추가조사했다.

조사는 각 항목에 대해 1~5점의 수치로 나타내도록 해 ‘약간 그렇다’와 ‘매우 그렇다’를 합쳐 비율로 제시했다.


인생에서 중요한 것 "건강>돈>존경"
개신교인이 비교인보다 정직 26%
72%가 "공공장소 전도 바람직안해"


◇교회에 대한 태도

우선 한국의 개신교에 대해 얼마나 ‘긍정’할까.

8개 항목을 물었다. △평소 개신교에 대해 만족스럽게 생각하고 있다(20.8%) △개신교의 헌금이 올바른 목적에 사용되고 있다(21.3%) △개신교는 가난한 사람이 마음 편히 다닐 수 있다(26.7%) △개신교인들이 비개신교인들보다 정직하다(25.8%) △지역사회에 개신교의 수가 많은 것이 좋다(22.7%) 등이다. 모두 20%대의 낮은 수치다.

△사회 봉사를 많이 한다(46.6%) △개신교가 한국 사회에서 보다 더 성장할 것이다(40.8%) △사회에 대한 영향력이 높다’(40.7%) 등의 항목에선 좀 더 나은 평가를 받고 있다. ‘개신교에 만족’ 설문엔 개신교인들도 19.1%만이 동의해 전체 평균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다음은 부정적 평가다. 4개 항목 중 △자기교파·교회 중심적이다(68.9%)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 개신교의 수가 너무 많다(67%) △우리 주변에 품위와 자격이 없는 성직자가 많다(52.8%) 등에선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그렇다’고 답했다. 이에 비해 ‘개신교인들이 비개신교인들보다 이기적이다’는 항목엔 동의(33%)가 적었다.

‘목사의 일 중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이냐’는 설문엔 △설교·성례(34.1%) △심방·전도(16.2%) △지역사회봉사(13.8%) 순으로 나타났다. 또 ‘예수를 믿지 않으면 아무리 선한 사람이라도 죽은 후에 구원을 받지 못한다’는 말에 대해선 △그렇다(21.5%) △보통(16.8%) △그렇지 않다(61.8%)로 부정적 응답이 많았다.

‘개신교인들이 조상의 묘 앞에서 절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은 결과 △그렇다(48%) △보통(14.6%) △그렇지 않다(37.4%)로 나왔다. ‘개신교의 경전인 성서가 문자 그대로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생각하느냐는 물음엔 △그렇다(38.5%) △보통(26.7%) △그렇지 않다(34.8%)로 긍·부정적 응답이 비슷했다.

개신교의 전도활동의 평가는 ‘부정’이 압도적이다. ‘일부 개신교인들의 공공장소(버스·지하철 등에서)의 적극적 전도활동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지를 묻자 △그렇지 않다(72.1%) △보통(17.3%) △그렇다(10.6%)로 나타났다.


◇ 개신교가 한국 사회에 끼친 영향

‘민족·민주·통일 운동에 긍정적 영향’에 대해선 △3·1운동 참여(37.3%) △독립운동 기여(38.8%) △구한말 이후 이로운 활동(42.2%) △민족의식 고취(26.8%) △1970~80년대 민주화운동 참여(24.2%) △남북화해와 통일운동 기여(32.3%) 등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인 항목으로는 △형식주의에 빠져 있다(46.6%) △분파주의적(52%) △권위주의적(42.5%) △타종교나 사상에 배타성(56%) △성장제일주의적(49.2%) △물신주의적(40.3%) △포교를 위해 한국인에게 무리하게 죄의식 주입(41.3%) 등으로 나타났다.

‘근 현대 100년사에서 독립·민주화·통일운동에 기여한 개신교인’을 묻자 △문익환(13.2%) △유관순(4.8%) △김구(3.2%) △함석헌·이승만(1.5%)으로 답변 됐다. ‘근 현대사의 정치·경제·문화 분야에 영향력을 끼친 종교’를 묻자 개신교인의 72.7%가 ‘개신교’라고 답했다. 그러나 비개신교인(가톨릭, 불교 등 개신교를 제외한 종교인)들은 △불교 39.1% △가톨릭 29% △개신교 19.9%라고 답해 상당한 인식 차이를 보였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중복 응답)을 묻자 △건강(44.4%) △행복한 가정생활(31.4%)이 높았고, △신앙생활(6.2%) △좋은 친구(3.5%) △남을 돕는 것(3.5%) △좋은 세상 건설(3.3%) △돈이 많은 것(3.1%) △좋은 직업(1.9%) △휴식(1%) △존경받는 것(0.7%) 순으로 나타났다.

조연현 기자cho@hani.co.kr /한겨레 2003.4.25.
?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335 Pipelines, Indigenous Rights, and Climate Commitments 1 다중이 2016.05.22 430 2016.05.25
334 United Action for Justice: Health Care in Canada is Threatened! 다중이 2016.05.04 1116 2016.05.22
333 차별과 배제, 극우 정치의 두 날개 1 플로렌스 2016.04.22 530 2016.05.04
332 United Action for Justice: Climate Justice - Faithfully Responding 1 CCP 2016.04.03 393 2016.04.03
331 E-ssentials: Rise Again! CCP 2016.03.26 351 2016.04.03
330 Note from Nora: Awake to the signs of Resurrection CCP 2016.03.26 431 2016.04.03
329 내 안에 사는 이 (동영상) 1 꽃무늬 2016.02.28 266 2016.02.29
328 너의 하나님 여호와가 (동영상) 3 꽃무늬 2016.02.28 303 2016.02.28
327 주기도문 찬송 2 꽃무늬 2016.02.28 422 2016.03.17
326 E-ssentials: Shaping the Future CCP 2016.02.26 118457 2016.02.26
325 United Church Philanthropy News - God's Mission, Our Gifts: Tools to Nurture Church Giving! CCP 2016.02.18 1089 2016.02.21
324 Note from Nora: Sharing the Lenten Journey Together CCP 2016.02.17 328 2016.02.21
323 Let go and embrace new life 1 관리자 2016.02.13 256 2016.02.13
322 United Action for Justice: Climate Justice - Faithfully Responding CCP 2016.02.11 226 2016.02.16
321 어느 불량한 부부의 불량한 여행 관리자 2013.08.30 4852 2013.08.30
320 내가 죽으면 제사 지내지 말고 외식해라 관리자 2013.07.03 4773 2013.07.03
319 “난 몇 개의 얼굴이 있다” 강상중 교수, 도쿄 탐색 책 내 관리자 2013.04.24 6351 2013.04.24
318 실크로드의 금발미녀 미라, '유럽인'이라고? 관리자 2013.03.09 7160 2013.03.09
317 일, 한·일 청구권 계산 때 ‘강제동원 사죄·배상’ 뺐다 관리자 2013.02.19 5622 2013.02.19
316 이주자 경제 기여엔 ‘긍정’ 국민 수용엔 ‘부정’ 관리자 2013.02.12 5763 2013.02.12
315 교황 사임, 나이나 건강 때문이라 믿기 어려운 이유 관리자 2013.02.12 4317 2013.02.12
314 연간 수십억 달러 거래되는 해외 입양 시장 관리자 2013.01.24 5698 2013.01.24
313 국적은 한국인데 주민번호 없는 그들, 재일동포 관리자 2012.12.14 5799 2012.12.14
312 양희송의 <다시, 프로테스탄트> 관리자 2012.12.13 5431 2012.12.13
311 나일문명 기행 관리자 2012.12.08 6016 2012.12.08
310 페르시아 문명 관리자 2012.12.08 5500 2012.12.19
309 실크로드 문명 관리자 2012.12.08 4126 2012.12.19
308 이스라엘의 탄생 The Birth of Israel 관리자 2012.12.05 4599 2012.12.05
307 최초 한국인 무슬림은 누구일까? 관리자 2012.12.05 8646 2012.12.05
306 구도자들이 꿈꾸는 땅 '둔황' 관리자 2012.11.20 4224 2012.11.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