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2003.04.19 21:46

부활절 상징...

조회 수 830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부활절...

내가 어렸을적, 아마도 교회의 부설유치원에 다닐때 기억같다.
부활절만 되면, 교회에서 계란에 색색을 입혀 나무사이에 숨겨놓으면, 그것을 찾는데로
바구니에 넣어 줍던 생각이 불현듯 떠올라 몇자 적어봅니다.

왜? 계란에 노랑/빨강/파랑... 색을 들였을까?
늘~ 궁금해 했던 기억이 난다.

오늘 여기저기 인터넷을 뒤지면서..
어릴적 맛있게 색계란을 까먹던 기억에..., 낼 교회에 계란먹으러 갈랍니다.^.^


첫째 이야기 : 그리스도의 고난을 추모하는 수난절 기간에는 금식이 나검소한 생활을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수난절이 끝나고 부활의 아침을 맞이할 때는 그 동안 먹지 않던
고기나 달걀을 먹는다. 부활절 아침식사로 오랜만에 식탁에서 맞는 달걀은 얼마나 아름답고
맛있는 것인지!

둘째 이야기 : 죽음을 깨치고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위대함과 놀라움은바로 굳은 달걀 껍질을
깨치고 태어나는 병아리와 같다고 해서 달걀을 선물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낼 설교시간에 설명부탁합니다.
아니... 제가 더 많은 책을 읽어야 하겠지요? ^^


또 하나의 상징: 백합

봄꽃으로 삼는 부활절 백합은 부활의 대표적인 상징이다.
백합은 맑고 정결함을 의미한다. 봄에 피는 것과 나팔모양,
왕실과 관련된 붓꽃모양이기 때문에,오늘날 백합은 부활하신 왕을 믿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생명의 전달자로 상징되고 있다.
그리고 또 한가지 이유는 땅에 묻힌 외견상으로 죽은 구군(球根)으로부터
아름다운 꽃이 피어나기 때문이다.
?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쓰기 및 편집 방법 2 file 다중이 2016.06.12 48839
141 입양 Adoption 이야기 플로렌스 2011.08.02 18748
140 입양아로서 자기를 찾아가기 2 플로렌스 2011.08.03 16815
139 있는 그대로 기적수업 2006.06.29 8454
138 잊혀지지 않을 겨울눈 3 플로렌스 2011.04.06 18625
137 잊혀진계절~ Jasper~ 2003.11.01 8843
136 자기를 완전히 세탁한 사람 1 플로렌스 2013.03.15 12733
135 자선음악회/토요일 먼동 2011.09.20 14362
134 자유게시판은 누구나 작성할 수 있습니다. 홍순창 2008.11.11 8275
133 자이니치(在日) 60년 학교 가는 길 2 플로렌스 2011.08.11 18019
132 잘 도착했습니다. 구정희 2006.11.28 9159
131 잘하면 캘거리에서 서울까지 직항으로? 박집싸 2008.11.20 8043
130 잡초론의 출처 (노무현) 운영자 2003.05.15 8342
129 재미교포 아줌마, 북한에 가다 플로렌스 2012.07.17 9412
128 재미로 봐주세요. 심각한것은 사절 6 슬픈현실 2010.11.29 9791
127 재미있는(?) 6 뚜버기 2010.10.18 8476
126 재미있어서 ^^ 구정희 2007.08.23 8189
125 재일 한국인들의 일본 귀화 2 플로렌스 2011.08.11 19786
124 적화통일되면 너희 다 죽어!`-19일 시청앞 종교집회 현장 -오 마이 뉴스 운영자 2003.02.09 15994
123 전세계 인터넷 검열 보고서, [감시하의 인터넷] 운영자 2003.07.09 8330
122 전우여, 그 한국인 위안부에 고통준 것 대신 사과해주게` 운영자 2005.08.12 8936
121 전주 중화산동,기전여대 옛날사진을 찾습니다-총 상금 300만원 김혜림 2004.04.17 8257
120 전치사 다음엔 항상 목적격이 온다 5 플로렌스 2011.06.07 17711
119 전화해 3 플로렌스 2012.05.22 10423
118 젊은 시절을 낭비케 한 단어들 1 닛시 2010.03.08 8424
117 정대위 박사님 별세 김창한 2003.07.26 8657
116 정말 고맙습니다. 이승운 2003.05.18 8802
115 정신대 할머니의 슬픔 운영자 2005.08.21 8879
114 정호승 시인의 시 낭독과 강연 3 플로렌스 2012.03.08 13736
113 제국의 품격과 미국의 운명 - 한겨레 운영자 2003.04.18 8244
112 제인, 대전에서 인사 드립니다 제인 2004.04.06 82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Next
/ 20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