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870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스피노자의 신, 스피노자적 재발견


신은 모든실존과 표현의 관계

유한양태인 인간은 선택 직면

조화와 자유의 극대화 길 시사







스피노자와 표현의 문제

질 들뢰즈 지음·권순모 이진경 옮김

인간사랑 펴냄·2만5000원

 

가타리와 혼성되기 이전의 들뢰즈는 확실히 다른 느낌을
준다. 1960년대에 이루어진 그의 철학사 연구들은 너무
차분하고 치밀해서 금욕적으로 보이기까지 한다. 그는 흄,
니체, 칸트, 베르그송, 스피노자 등 많은 철학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지만, 연구태도만은 철저히 ‘스피노자적’이었다.
‘식칼 테러’에 찢긴 외투를 걸어 놓고 “조심하라”는
말을 되뇌면서, 한치의 흔들림도 없이 냉정하게 문제를
파고들었던 스피노자의 금욕주의―그 폭풍을 불러오는
고요한 말들의 거처!

들뢰즈는 고요하면서 또한 떠들썩했던 그 자신의 작업을
철학자들의 ‘사생아 만들기’라고 불렀다. 당사자조차
당황해서 자기 자식임을 부정하게 만드는 그런 사생아
만들기. 하지만 그 분야라면 스피노자야말로 대가였다. 그는
신의 말씀을 연구함으로써 신의 사생아를 만들지 않았던가.
때문에 독실한 기독교 청년은 신의 절대성을 주장하는
스피노자에게서 악마의 얼굴을 보았고, 이성의 철학자들은
그의 날카로운 이성 때문에 이성의 시대가 위험에 처했음을
직감했던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스피노자와 표현의 문제>를 들뢰즈가
낳은 사생아로 볼 수 있는지는 모르겠다. 그 이유는
알튀세의 표현처럼, “이단적 스피노자주의야말로 정통
스피노자주의”이기 때문에, 다시 말해 스피노자 자신이
이미 별종이고 괴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생아까지는
아니더라도 이 책에는 분명 스피노자도 놀랄 만한 독특한
표정이 있다. 과연 그 표정을 만들어낸 것은 무엇인가. “철학의
힘은 그것이 창조하거나 의미를 갱신하는 개념으로
측정된다.” 스피노자 철학의 힘. 들뢰즈는 그것이 ‘표현’이라는
개념을 통해 드러난다고 말한다. 스피노자가 발견하고
재창조했다는 개념. 그러나 우리는 ‘표현’이라는 개념을
스피노자에게서 발견하고 재창조한 것이 들뢰즈 자신임을
안다.

들뢰즈에 따르면 스피노자의 신은 실존하는 모든 것들과
표현의 관계를 맺고 있다. 만물은 신의 표현이며, 신은
만물을 통해 구성된다. 표현된 것은 신의 능력이며,
표현되지 않은 것, 즉 신의 무능력은 존재하지 않는다.
표현되지 않은 세계, 표현되지 않는 관념을 추방하는 것.
모든 초월성을 거부하고, 내재성을 ‘이 세계’의 원리로
받아들이며, ‘이 세계’의 모든 생성을 축복하는 것.
그것이 스피노자의 철학이다.

그러나 스피노자의 말은 신에 대한 찬송가로 준비된 게
아니다. 그의 철학은 신의 위치가 아니라 유한 양태들, 바로
우리들의 위치에서 구체적 의의를 획득한다. 세상 모든 일을
긍정하는 신에게는 해당사항이 없다. 다른 양태와의
돌발적인 마주침을 피할 수 없는 나, 숱한 생성의 과정에서
자신을 지키고 능력을 확장해야 하는 유한 양태로서의 나.
스피노자의 윤리학은 그런 나를 출발점으로 삼는다. 물의
리듬을 타느냐 못 타느냐가 수영선수와 익사자를 가르듯,
내가 다른 사람이나 사물과 관계하는 양상은 내 능력의
극대화로도, 해체로도 이어질 수 있다. 우리는 우리와
관계하는 무수히 많은 것들과 어떻게 조화를 이루며, 동시에
어떻게 우리의 자유를 극대화하고 우리 자신의 특이성을
만개하게 할 것인가. 들뢰즈의 스피노자는 바로 그 지점에서
우리에게 가장 매혹적인 표정을 짓고 있다.

고병권/수유연구실+연구공간‘너머’ 연구원




?

Title
  1. 12
    Jun 2016
    20:59

    글쓰기 및 편집 방법

    By다중이 Reply2 Views48860 file
    read more
  2. 14
    Feb 2008
    12:00

    Gregorian 성가대가 부른 Beatles 히트곡들

    By이동진 Reply0 Views8789
    Read More
  3. 26
    Jan 2010
    18:19

    Re: 저는 좌파군요.

    By마틴 Reply1 Views8788
    Read More
  4. 24
    Sep 2009
    00:32

    문동환 박사 자서전 출판 축하모임

    By마틴 Reply1 Views8788
    Read More
  5. 04
    May 2010
    12:27

    감동을 주는 이야기와 TV 동화

    By마틴 Reply3 Views8766
    Read More
  6. 22
    Oct 2006
    07:04

    한반도 전쟁의 환란에 대비하라.

    By한반도 전쟁의 환란에 Reply0 Views8763
    Read More
  7. 06
    Nov 2010
    19:01

    용서 이야기 (5)

    ByJung Reply0 Views8761
    Read More
  8. 17
    Jul 2003
    04:58

    이바노비치- 다뉴브강의 잔물결

    By운영자 Reply0 Views8761
    Read More
  9. 12
    Mar 2005
    23:07

    한장의 사진-퍼옴

    By이동진 Reply0 Views8760
    Read More
  10. 16
    Apr 2003
    18:23

    내 억울함 교육부·교육청도 외면- 오마이뉴스

    By운영자 Reply0 Views8758
    Read More
  11. 23
    Jan 2007
    17:42

    한글판 `요코이야기` 왜곡 투성이

    By운영자 Reply0 Views8755
    Read More
  12. 30
    Jan 2009
    23:39

    Re: 너무나 오랜만입니다.

    ByCharley C Park Reply0 Views8744
    Read More
  13. 14
    Feb 2008
    12:04

    트럼펫 연주

    ByMission Reply0 Views8744
    Read More
  14. 30
    Jan 2009
    23:44

    Re: Here I Am Lord

    ByCharley C Park Reply0 Views8741
    Read More
  15. 04
    Jul 2009
    19:07

    한국 보수 기독교세력의 행동- 퍼옴

    ByElbow River Reply2 Views8736
    Read More
  16. 18
    Sep 2006
    19:40

    육체

    By기적수업 Reply0 Views8730
    Read More
  17. 01
    Nov 2010
    19:00

    Daylight Saving Time (써머 타임)

    By운영자 Reply2 Views8720
    Read More
  18. 04
    Dec 2009
    09:56

    종합장아찌 레시피

    Bymoonee Reply1 Views8716
    Read More
  19. 27
    Feb 2008
    21:04

    평양공연:New York Philharmonic Orchestra

    By로즈마리 Reply0 Views8716
    Read More
  20. 21
    Apr 2006
    15:47

    “‘민주건달’님들, 살림살이 확 나아지셨습니까?”

    By운영자 Reply0 Views8713
    Read More
  21. 14
    Feb 2009
    10:52

    Re: 저도 머리가 띵한 이야기

    ByMartin Reply0 Views8711
    Read More
  22. 01
    Oct 2007
    20:51

    2007 미얀마 민주화시위, 88년과 무엇이 다른가?

    By로즈마리 Reply0 Views8709
    Read More
  23. 14
    Mar 2003
    11:05

    스피노자의 신, 스피노자적 재발견-한겨레

    By운영자 Reply0 Views8708
    Read More
  24. 02
    Mar 2004
    03:23

    오래된 책을 묶으며

    By운영자 Reply0 Views8706
    Read More
  25. 09
    Apr 2010
    19:58

    Re: 어느 60대 노부부 이야기.

    By곽삐남 Reply0 Views8702
    Read More
  26. 12
    Nov 2009
    21:10

    “盧 죽음, 역사의 샘터 맑게할 것` - 문동환

    BySOON Reply0 Views8697
    Read More
  27. 17
    Jul 2003
    04:56

    지고이넬바이젠

    By운영자 Reply0 Views8687
    Read More
  28. 06
    Apr 2006
    06:57

    단 한가지의 목적

    By기적수업 Reply0 Views8683
    Read More
  29. 05
    Nov 2010
    06:23

    용서 이야기 (1)

    ByJung Reply2 Views8680
    Read More
  30. 21
    Aug 2007
    16:52

    귀 있는 자는 성령이 교회들에게 하시는 말씀을 들을지어다(계 2:7)

    By전남양 Reply0 Views8678
    Read More
  31. 22
    Jun 2003
    18:03

    30여년 전을 생각한다- 박노자 한겨레

    By운영자 Reply0 Views8677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20 Next
/ 20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