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476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http://www.pressian.com/books/article.asp?article_num=50110708135016

문학을 다시 묻는 '오래된' 그러나 '새로운' 목소리

[프레시안 books] 백낙청의 <문학이 무엇인지 다시 묻는 길>

기사입력 2011-07-08 오후 6:46:18

최근 발간된 백낙청의 두 평론집을 읽고 느낀 가장 큰 소감은 그가 치열하고 왕성한 사유를 계속하고 있는 현재 진행형의 비평가라는 점이다.

<문학이 무엇인지 다시 묻는 길>(창비 펴냄)은 그가 최근 몇 년 사이 한국 문학에 관해 쓴 평론과 영문학에 대해 1980년대 이래 써온 글들을 묶은 것이고, <세계 문학과 민족 문학 1 : 인간 해방의 논리를 찾아서>(창비 펴냄)는 각기 1978년, 1979년 발간된 두 평론집을 하나로 묶어 새로 발간한 것이다.

{#8936463349#}
▲ <문학이 무엇인지 다시 묻는 일>(백낙청 지음, 창비 펴냄). ⓒ창비
거의 40년에 육박하는 세월의 흐름을 거치면서 한 문학평론가가 발전시켜온 사유의 궤적이 현실의 변화와 외부의 도전에 응전하면서도 애초의 중심을 잃지 않는 어떤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지켜보는 것은 그 자체로 경이로운 체험이다.

백낙청이 40년 전에 제기한 민족 문학과 세계 문학의 관계, 리얼리즘론 등의 문제설정은 2011년 현재 시점에서도 큰 틀의 변화 없이 견지되고 있다. 그 사이 이 이론에 불어 닥친 숱한 비판과 저항을 생각해 보면,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다'는 말이 실감난다.

영문학의 고전에 대한 주체적 읽기를 시도하면서 한국 문학에 대한 구체적 비평과 실천적 개입을 소홀히 하지 않는 백낙청의 부지런한 작업은 어느 한쪽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나를 포함한 오늘날 다수 후배 영문학자들의 모습과 비교하면 부끄러움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40년에 이르는 백낙청의 사상적 궤적을 이 짧은 대중적 서평에서 감당한다는 것은 애당초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최근 그의 문학적 관심사가 집중적으로 표명된 <문학이 무엇인지 다시 묻는 길>에 집중하면서 선생의 주요 이론적 입장이 현실의 변화와 이론적 도전 앞에서 어떻게 견지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견지란 고수와 다르다. 고수가 변화를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옛것을 유지하는 수구적 태도라면 견지란 새로운 변화를 수용해 들이면서도 애초의 입장을 심화시키는 유연한 시각이다. 백낙청이 이 평론집에서 인용한 이장욱의 표현을 빌자면, 그것은 "외계인 만나기"를 두려워하지 않으면서도 "지금 이곳의 삶"을 놓치지 않는 현실 감각과 현재를 넘어 "다음은 무엇?"을 질문하는 근본적 시각을 유지하는 것이다.

"문학이 무엇인지 다시 묻는 길"이라는 평론집의 제목 자체가 이런 유연한 견지를 위해 문학의 근본을 다시 질문해보는 백낙청의 비평적 자세를 보여준다. 그런데 그의 글쓰기에서 특징적인 것은 문학의 근본을 성찰하면서도 구체적 작품에 대한 구체적 읽기를 생략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현재 한국에서 생산되는 문학 작품들에 대한 자신의 독서가 부족하다는 거듭된 고백에도 불구하고, 그의 글은 근원적 문제에 대한 성찰을 언제나 특정 작품에 대한 자신의 독서 실감과 비평적 판단을 통해 진행한다. 큰 이야기나 추상적 이론에 쉽게 휩쓸리지 않고 구체적 작품에 대한 자신의 주관적 실감에 충실한 평가, 그러나 주관주의적 인상에 떨어지지 않고 객관적 판단으로 이어지는 비평적 평가야말로 인문 교양의 핵심으로서 문학 비평의 의의이자 역할이라고 믿는 생각과 연결되어 있다.

미래파 시에 대한 최근 비평계의 논란을 젊은 시인들의 시와 고은, 신경림의 시를 비교해 읽으면서 이를 자크 랑시에르의 감각성과 정치성에 대한 논쟁과 연결시켜 평가하는 부분, 박민규 소설에 나타나는 공상과 판타지를 리얼리즘의 확장이라는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현재의 지평에 폐쇄되지 않고 미래적 전망을 열어두는 대목은 최근 한국 문학에 대한 그의 평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이다.

특정 시인이나 소설가 그리고 비평가의 작품을 꼼꼼하게 읽어내면서 자신의 입장을 조목조목 밝히고 세세한 주 달기를 귀찮아하지 않는 그의 깐깐한 글쓰기는 구체적 증거의 제시 없이 큰 이야기하는 것을 당연시하는 이른바 대가들과 그가 얼마나 다른 지점에 있는가를 보여주는 징표이다. 그가 치열하고 왕성하게 활동하는 현역 비평가라는 점을 말해주는 대목이다.

이런 점은 평론집의 2부를 구성하고 있는 영문학 작품에 대한 읽기에도 그대로 나타난다. 찰스 디킨즈, 샬럿 브론테, 토머스 하디, 조지프 콘래드 등 이른바 영문학의 '위대한 전통'에 들어가는 소설들에 대한 읽기는 영미학계의 주류 해석 조류들과의 비판적 대결을 통해 촘촘하게 전개된다. 1980년대 이후 간간이 발표한 영문학 비평은 리얼리즘 문학에 대한 그의 소신이 영문학 고전에 대한 주체적 읽기와 현대 서양 문학 이론과의 대결을 통해 이루어진 것임을 보여준다.

일견 쫀쫀하다 싶을 정도로 치밀한 이런 글쓰기 방식은 그가 리얼리즘을 사실주의와 구별하면서도 사실주의적 기율의 중요성을 간과하지 않는 것과 연결되는 것 같다. 랑시에르가 말하는 감각성의 재분배를 통한 새로운 감각 체험이 리얼리즘과 상통할 수 있다고 보면서도 그가 좋은 (리얼리즘) 문학은 "윤리적이고 재현적이면서 감각 체험적이기도"(80쪽)하다는 시각을 끝내 견지하는 것은 재현이라고 하면 곧바로 사실주의적 한계로 비판하는 일면적 시각을 교정하기 위해서이다. 리얼리즘은 사실주의적 재현을 넘어서는 진리의 계기를 담고 있지만 사실주의적 재현을 포괄해 들이는 이중적 작업일 수밖에 없다는 그의 시각은 이번 평론집에서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랑시에르와 관련하여 한 가지 나의 관심을 끄는 것은 리얼리즘 진영에서 사실주의 내지 자연주의적 한계로 비판되는 귀스타브 플로베르에 대한 랑시에르의 적극적 평가, 즉 플로베르는 현실을 모사하거나 재현한 작가가 아니라 감각의 민주적 재분배를 이룩한 작가라는 평가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백낙청은 전체적으로 랑시에르가 사실주의적 재현의 의의를 제대로 살피지 못했다고 비판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감각성의 재분배라는 관점에서 플로베르의 글쓰기를 새롭게 읽어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가 있지 않을까? '서술(narration)'에 이르지 못한 '묘사(description)'라고 비판할 것이 아니라 새로운 감각성의 발명이라는 각도에서 플로베르적 사실주의를 재해석하는 길을 모색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사실주의/리얼리즘이라는 이분법에 빠지지 않으면서 사실주의라고 알려진 글쓰기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할 수 있는 길이기 때문이다.

이번 평론집에서 백낙청이 일관되게 유지하는 또 하나의 문제의식은 세계 문학과 민족 문학의 관계이다. 사실 그의 첫 평론집 제목이 "민족 문학과 세계 문학"이었을 정도로 민족 문학과 세계 문학의 관계 설정은 그의 사유와 비평 의식을 추동해온 핵심적 문제의식 가운데 하나이다.

이른바 세계화의 진전과 함께 민족주의와 민족 문학에 대한 회의가 광범위하게 제기되면서 세계 문학 논의는 최근 문학 비평계와 인문학계를 사로잡는 뜨거운 화두이다. "세계화와 문학"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백낙청은 자본주의적 지구화에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면서 세계적 시야를 확보한 국민/민족 문학이야말로 세계 문학의 도래를 앞당기는 일이라는 기존 입장을 유지한다.

이런 국민/민족 문학은 "국민국가나 민족을 고정된 단위로 삼기보다 지방의 특수성이 적절히 반영된 국민/민족/지방 문학의 약칭으로 이해하는 것이 옳다"고 보면서, "내셔널 문학은 국민국가의 국어 문학"(93쪽)이라는 트랜스내셔널리즘의 비판을 역비판한다. 특정 언어에 뿌리를 둔 국민/민족/지방 문학이 세계 문학의 기본을 이룬다는 점이 망각되어온 점을 비판하면서 근대 세계 체제에 적응하면서 동시에 이를 극복해나가는 이중 과제의 중요성을 다시한 번 역설한다(107쪽). 이 과제를 수행하는 민족/국민/지방 문학이 세계 문학의 선도적 위치에 서게 된다는 것이다.

문제는 현재 민족/국민 문학이 과연 이 이중 과제의 수행을 하기에 적절한 단위인지, 아니면 세계 문학적 인식과 지평을 가로막는 장애로 작용하는지에 대한 평가일 것이다. 민족/국민 문학의 현실적 역할과 의의를 송두리째 부정하는 것이 문제적임은 분명하다. 민족/국민 문학이라는 구체적 현실적 계기를 부정하고 세계 문학을 말하는 것은 추상적이다.

하지만 민족/국민 문학의 세계 문학적 선도성을 일면적으로 주장하기보다는 민족/국민 문학을 세계 문학으로 나아가기 위한 잠정적 이행의 계기로 수용하는 것은 어떨까? 민족 문학과 세계 문학은 공존과 병행보다는 갈등과 긴장에 놓일 가능성이 더 많다. 이 갈등과 긴장의 끈을 놓치지 않으면서 양자를 소통시키려는 노력을 할 때 아직 주어지지 않은 가능성으로서 세계 문학을 출현시키는 작업이 시작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이명호 경희대학교 교수

?

Title
  1. No Image 07Jan
    by 관리자
    2012/01/07 by 관리자
    Views 3995 

    내가 굴드에 엮인 세 가지 이유

  2. No Image 24Dec
    by 관리자
    2011/12/24 by 관리자
    Views 7031 

    성탄절 교회에서 설교하는 법륜스님 "서로 다름이 풍요로움으로"

  3. No Image 24Dec
    by 관리자
    2011/12/24 by 관리자
    Views 3932 

    한기총, <뉴스앤조이>를 없애려 하다

  4. No Image 24Dec
    by 관리자
    2011/12/24 by 관리자
    Views 4510 

    뉴욕 스님들이 성탄예배 하러 교회에 간 까닭은?

  5. No Image 05Dec
    by 관리자
    2011/12/05 by 관리자
    Views 9607 

    물 존재, 지구같은 행성발견...기온 22℃

  6. 가족 위해 헌신했지만, 돌아온 건 '췌장암' [서평] 김인선의 <내게 단 하루가 남아있다면>

  7. No Image 10Oct
    by 관리자
    2011/10/10 by 관리자
    Views 5082 

    미국 입양인이 '한국 고시원'에 사는 이유

  8. 故 문익환 목사 부인 박용길 장로 별세

  9. No Image 21Aug
    by 관리자
    2011/08/21 by 관리자
    Views 4154 

    부끄럽게도 선관위 감시 받는 ‘정치 교회’들

  10. No Image 21Aug
    by 관리자
    2011/08/21 by 관리자
    Views 6638 

    세상을 바꾼 과학 논쟁

  11. No Image 12Aug
    by 플로렌스
    2011/08/12 by 플로렌스
    Views 3965 

    '상식' 운운하면 사기꾼! 제발 속지 마!

  12. No Image 08Aug
    by 관리자
    2011/08/08 by 관리자
    Views 4062 

    김구도 버린 보수? '현실 눈감은 무식쟁이 노인' 따위가!?

  13. No Image 18Jul
    by 관리자
    2011/07/18 by 관리자
    Views 6586 

    이상철 목사 회고록 <열린세계를 가진 나그네>

  14. No Image 12Jul
    by 관리자
    2011/07/12 by 관리자
    Views 4297 

    미국이 파산한다면 믿을 사람 있나?

  15. 문학을 다시 묻는 '오래된' 그러나 '새로운' 목소리

  16. No Image 29Jun
    by 관리자
    2011/06/29 by 관리자
    Views 7641 

    중국의 티베트인권 탄압 막고픈 리차드 기어 마음 외면한 한국불교

  17. 김정일과 이명박, 그들은 '한국전쟁'의 산물

  18. No Image 14Jun
    by 관리자
    2011/06/14 by 관리자
    Views 4845 

    고작 '햄버거' 하나 던져주고 '퍼주기'라니!"

  19. No Image 07Jun
    by 관리자
    2011/06/07 by 관리자
    Views 8952 

    Calgary professor criticizes 'Star Trek' take on religion

  20. No Image 14May
    by 관리자
    2011/05/14 by 관리자
    Views 5538 

    미 중학생 "한국하면 떠오르는 것? 포켓몬!"

  21. No Image 17Apr
    by 관리자
    2011/04/17 by 관리자
    Views 6994 

    '심야 식당' 개업한 정신과 의사? 살짝 엿보니…

  22. No Image 07Apr
    by 관리자
    2011/04/07 by 관리자
    Views 5578 

    일본 돕기 열풍에 빠진 한국... 뭐 잊은 거 없어?

  23. No Image 02Apr
    by 관리자
    2011/04/02 by 관리자
    Views 5530 

    Korean War

  24. 김구 암살범 안두희 동영상

  25. No Image 15Mar
    by 관리자
    2011/03/15 by 관리자
    Views 5334 

    일본 지진은 '우상'과 '천황' 때문

  26. No Image 13Mar
    by 관리자
    2011/03/13 by 관리자
    Views 5352 

    조용기 목사 "일본 대지진은 하나님 멀리한 탓"

  27. No Image 08Mar
    by 관리자
    2011/03/08 by 관리자
    Views 9171 

    "주여, 무릎 꿇은 불쌍한 대통령 '똥 묻은 개들'로부터 지켜주소서"

  28. No Image 03Mar
    by 관리자
    2011/03/03 by 관리자
    Views 6729 

    이 대통령, 무릎꿇고 통성기도 '눈길'

  29. No Image 03Mar
    by 관리자
    2011/03/03 by 관리자
    Views 5335 

    손봉호 교수 "한기총은 해체돼야 합니다"

  30. No Image 03Mar
    by 관리자
    2011/03/03 by 관리자
    Views 5085 

    "한기총은 어떤 대책이 있습니까?"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