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22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맏이 콤플렉스

(누가복음 15:25~32) 그런데 큰 아들이 밭에 있다가 돌아오는데, 집에 가까이 이르렀을 때에, 음악 소리와 춤추면서 노는 소리를 듣고, 종 하나를 불러서, 무슨 일인지를 물어 보았다. 종이 그에게 말하였다. ‘아우님이 집에 돌아왔습니다. 건강한 몸으로 돌아온 것을 반겨서, 주인 어른께서 살진 송아지를 잡으셨습니다.’

큰 아들은 화가 나서, 집으로 들어가려고 하지 않았다. 아버지가 나와서 그를 달랬다. 그러나 그는 아버지에게 대답하였다. ‘나는 이렇게 여러 해를 두고 아버지를 섬기고 있고, 아버지의 명령을 한 번도 어긴 일이 없는데, 나에게는 친구들과 함께 즐기라고, 염소 새끼 한 마리도 주신 일이 없습니다. 그런데 창녀들과 어울려서 아버지의 재산을 다 삼켜 버린 이 아들이 오니까, 그를 위해서는 살진 송아지를 잡으셨습니다.’ 아버지가 그에게 말하였다. ‘얘야, 너는 늘 나와 함께 있으니 내가 가진 모든 것은 다 네 것이다. 그런데 너의 이 아우는 죽었다가 살아났고, 내가 잃었다가 되찾았으니, 즐기며 기뻐하는 것이 마땅하다.’”

탕자의 비유는 교회를 오래 다닌 분들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이야기 입니다. 그래도 잠깐 줄거리를 말씀 드리자면 이렇습니다. 부자에게 두 아들이 있습니다. 그 중 둘째 아들이 자신에게 물려줄 재산을 지금 달라고 합니다. 아버지는 그 재산을 줍니다. 둘째 아들은 그 돈을 가지고 먼 지방으로 가서 방탕하게 다 써버립니다. 그리고 얼마 있지 않아 흉년이 찾아와 궁핍한 처지에 놓이게 됩니다. 둘째는 그 지방에서 돼지를 키우는 사람에게 몸을 의탁합니다. 먹을 것이 없어 돼지가 먹는 쥐엄열매라도 먹었으면 하는데 그것마저 주는 사람이 없습니다. 그제서야 아버지가 생각납니다. 아버지 집에서는 종들도 풍요롭게 지냈다는 생각이 납니다. 아버지에게 종으로나마 들어가자 하는 마음으로 집을 향합니다. 멀리서부터 아들을 기다리던 아버지는 아들을 껴안고 반지와 신을 신기고 소를 잡아 잔치를 베풉니다.

그런데 큰 아들이 밭에서 일하다가 돌아와서는 일어난 정황을 종에게 보고 받고는 불만을 품는 내용이 오늘 본문 내용입니다.

일단 이 비유는 어떤 의미가 담겨 있습니까? 찬찬히 한번 생각해 보겠습니다.

 

1. 배경을 이해하기

성경의 비유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청자가 누구인지, 시대적 배경이 어떠했는지 이해해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성경의 전후 문맥을 이해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먼저 예수님께서 말씀하게 된 계기는 이렇습니다. 누가복음 15장 1,2절을 보면 세리들과 죄인들이 모두 예수의 말씀을 들으려고 그에게 가까이 몰려들었다.

바리새파 사람들과 율법학자들은 투덜거리며 말하였다. "이 사람이 죄인들을 맞아들이고, 그들과 함께 음식을 먹는구나."  라고 이야기합니다. 당시 종교지도자로써 율법과 체면을 중시했던 바리새인들과 율법학자들은 세리, 죄인들과는 겸상하지 않았습니다. 그들과 함께 있는 것만으로 사람들의 구설에 오를 수 있는 일이었습니다. 그런데 예수님은 그들과 대놓고 식사를 하십니다. 당연히 불만이 생기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비유가 시작됩니다. 그렇다면 주된 청자는 누구입니까? 바리새인과 율법학자들입니다. 이 사실을 잘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2. 구조를 이해하기

15장에는 모두 3가지 비유가 나옵니다. 첫 번째 비유는 잃어버린 양 비유입니다. 100마리의 양 중 한 마리를 잃어버린 목자는 99마리를 놓아두고 잃어버린 한 마리를 찾아 헤맵니다. 그렇게 해서 찾게 되면 그 양을 메고 와서 기쁜 마음으로 잃어버린 양을 찾았다고 이웃들에게 말할 것입니다.

두 번째 비유는 잃어버린 드라크마의 비유입니다. 한 여인이 열 드라크마 중 한 드라크마를 잃어 버리고는 등불을 켜서 비로 쓸면서 열심히 찾습니다. 한 드라크마의 가치는 그렇게 크지 않지만 보통 유대의 풍습으로는 신랑이 신부에게 열 드라크마를 꿰어서 결혼의 징표로 선물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녀에게는 잃어버린 한 드라크마는 단순히 동전 한 닢의 가치는 아닐 것입니다. 결국 여인은 잃어버린 드라크마를 찾았고 이웃 사람들과 함께 기쁨을 나눕니다.

이 두 비유는 비유가 끝나는 말미에 똑같은 결론을 맺고 있습니다.

첫 번째 비유의 결론은 15장 7절에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이와 같이 하늘에서는, 회개할 필요가 없는 의인 아흔아홉보다, 회개하는 죄인 한 사람을 두고 더 기뻐할 것이다." 라고 나옵니다.

두 번째 비유의 결론은 15장 10절에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이와 같이 회개하는 죄인 한 사람을 두고, 하나님의 천사들이 기뻐할 것이다." 라고 나옵니다. 같은 결론이죠.

그리고 세 번째 비유인 탕자의 비유가 나옵니다. 탕자의 비유는 두 아들 중 잃어버린 한 아들을 되찾는다는 이야기입니다. 세 비유를 연결해서 보면 잃어버린 양 비유에서는 1/100, 드라크마 비유에서는 1/10, 탕자의 비유에서는1/2이라는 점층법을 쓰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잃어버린 것의 비중이 커질수록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비유들 중에서도 백미는 탕자의 비유입니다. 과장해서 말한다면 탕자의 비유를 전달하기 위해 앞의 두 비유를 서론으로 깔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훨씬 이해하기 쉽고 단순하고 짧은 비유를 시리즈의 앞부분에 포진시키고 상식을 깨고 받아들이기 어려운 탕자 비유를 뒷부분에 배치함으로써 청자가 받아 들이지 않을 수 없도록 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더더구나 이 비유는 열린 결말로 끝나고 있습니다. 우리는 너무 많이 들어와서 그런지 탕자의 비유를 파격적이라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탕자의 비유가 왜 파격적이고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일까요?

 

3. 상식 밖의 설정들

저는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가 가장 파격적이고 혁명적인 비유라 생각합니다. 다음으로 파격적인 비유가 바로 탕자의 비유라 생각합니다. 여러분도 들어보시면 이해하실 것입니다.

첫째, 당시의 시대배경으로는 둘째 아들이 건재한 아버지에게 재산을 물려달라고 요구할 수 없습니다. 당시는 아비지가 살아계시고 자식이 장가가기 전이라면 자식조차도 아버지의 소유입니다. 이런 아들이 아버지에게 감히 재산을 물려 달라고 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비유에서 보면 둘째 아들의 부탁을 들어줍니다. 들어줄 때 부탁하지 않은 첫째의 몫까지 함께 분배합니다.

둘째, 이방인의 도시로 가서 재산을 탕진한 아들을 아버지는 기다렸다가 받아들이고 환영하는 것도 상식적이지 않습니다. 당시 패역한 아들은 사람들에게 공증만 받으면 돌로 쳐죽일 수 있습니다. 탕자의 행위는 당시 사회에서 돌로 쳐 죽여도 될만한 행위입니다. 이런 아들을 나무라지도 않습니다. 언제 올지도 모르는 아들을 항상 멀리까지 나가 기다렸습니다. 그리고 바로 아들의 권한을 복권시키고 잔치를 베풀어 줍니다. 탕자의 이야기를 듣던 바리새인들과 율법학자들은 이런 탕자의 아버지를 이해하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셋째, 첫째 아들은 둘째가 돌아와 잔치를 하는 것을 보고 화가 나서 집으로 들어가려 하지 않고, 아버지는 나와서 큰 아들을 설득하고 달랩니다. 이런 장면은 도저히 당시 사회에서 찾아보기 힘든 광경입니다. 앞에서 말한 것처럼 당시 아버지의 권위는 한 가정에서 독재자와 다름 없는 권한을 가집니다.

그런 아버지 앞에서 화를 내고 밖으로 나가는 첫째 아들의 모습은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더더구나 아버지가 그런 아들을 달래려고 직접 나가서 대화하는 모습도 파격적입니다. 오늘날에는 이런 모습이 자연스러울지 모르지만 당시 사회에서는 상식적이지 않은 행동들입니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파격적인 이야기에 담긴 의미는 무엇일까요?

 

4. 비유 안에 담긴 의미들

이 비유에서 등장하는 아버지는 당연히 하나님이십니다. 여기서 등장하는 하나님은 바리새인들과 율법학자들이 생각하는 율법의 하나님, 공의의 하나님, 심판의 하나님이 아닙니다. 사랑과 은혜의 하나님이십니다. 그래서 둘째 아들의 상식 밖의 행동에도 나무라시기보다 그가 깨닫고 돌아서기를 원하십니다. 철 없는 둘째가 큰 재산을 가지고 나간다면 분명 망할 것이라는 것을 아버지는 알았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아버지는 둘째에게 재산을 줍니다. 둘째에게 재산을 나눠 준 것이 아니라 첫째에게도 재산을 나누어 줍니다. 첫째까지도 배려하는 아버지의 세심함이 엿보입니다. 물론 첫째 아들은 이런 아버지의 마음을 잘 모릅니다.

아버지는 망해서 돌아올 아들을 기다립니다. 그리고 고생을 통해 큰 배움을 얻고 온 둘째 아들을 반갑게 맞이 합니다. 나무라거나 잔소리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잔치를 베풉니다. 이런 아버지와 동생을 본다면 첫째로서 당연히 화가 날 것입니다. 이 비유에서 큰아들은 그 동안 조연이라 생각해왔습니다. 그러나 저는 큰아들이야말로 주연이라 생각합니다. 앞에서 제가 잊지 말고 기억해 두시라고 했던 것을 떠올려 보십시오. 이 비유의 청중이 누구입니까? 세리, 죄인들과 식사하고 있는 예수님을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바리새인들과 율법학자들입니다. 예수님은 비유의 말미에 많은 비중을 들여서 아버지와 큰아들의 대화를 묘사합니다. 잘 아시겠지만 큰아들이 바로 이 비유를 듣고 있는 바리새인과 율법학자들을 상징합니다.

첫째, 큰 아들은 형제지만 둘째 아들을 싫어합니다. 바리새인들은 형제지만 세리와 죄인들을 싫어합니다.

둘째, 큰 아들은 자신이 열심히 일해서 아버지를 돕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아들을 돌보고 은혜를 베푸는 사람은 아버지 입니다. 바리새인은 자신의 열심으로 하나님을 돕는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누구의 도움이 필요한 분이 아닙니다.

셋째, 큰 아들은 아버지가 자신에게 친구와 놀라고 염소 새끼 한 마리 준 적 없는 인색한 분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아버지는 모든 것을 자유롭게 누리도록 주셨습니다. 다만 아들이 아버지를 그렇게 생각하고 스스로 자유를 누리지 못했습니다. 바리새인들도 하나님은 엄하고 인색한 분이라 생각했는지 모릅니다. 그들은 스스로 금식하고 철저하게 율법을 지켜야 하나님께서 기뻐하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예수께서 제자들과 안식을을 제대로 지키지 않으시고 술과 음식을 즐기는 것을 탐탁치 않게 여겼습니다.

오래된 신자들에게 종종 맏아들과 같은 모습을 봅니다. 하나님께 기도를 잘 하지 않습니다. 하나님께서 다 아시는데 시시콜콜 이야기하는데 의미를 느끼지 못합니다. 자신도 클 만큼 컸다고 생각합니다. 성숙한 아들은 아버지의 마음을 알아서 헤아리고 열심으로 충성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다 보니 그러지 못한 사람들을 보면 못마땅합니다. 예수님 오신다고 분주한 마르다가 예수님 발치에서 예수의 이야기를 듣고 있는 마리아를 못마땅하게 여긴 것과 같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열심이 없으면 교회가 안될꺼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분들은 교회를 나가면서도 “내가 나가고도 교회가 잘 되나 보자.”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을 제대로 모르는 것은 둘째가 아니라 맏아들입니다. 둘째가 아버지에게 돌아가려고 마음 먹을 수 있었던 것은 아버지 아래에서는 종들도 잘 먹고 잘 산다는 것을 떠올렸기 때문입니다. 아버지는 너그럽고 후히 주시는 분임을 알았습니다. 그러나 항상 아버지의 마음을 잘 이해한다고 생각한 맏아들은 아버지를 엄하고 인색한 분으로 잘못 알고 있었습니다. 둘째에게 재산을 나누어 줄 때 첫째에게도 나누어 주었습니다. 그러나 첫째는 염소 한 마리도 손을 대지 못합니다. 하나님이 풍성하게 주신 은혜와 자유를 누리지 못합니다. 금욕하고 엄격하게 율법을 지키는 것만을 아버지의 뜻으로 생각합니다. 그래서 방탕하고 율법에 무신경한 동생을 미워합니다.

이런 첫째 조차도 아버지는 직접 나가서 달래시고 설득하십니다. 당시에는 상상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자애로운 아버지의 모습 앞에서도 첫째는 화를 내고 동생을 탓합니다. 아버지가 첫째 아들을 설득하는 대화로 비유는 끝이 납니다. 그러나 첫째 아들이 어떻게 되었는지 나오지 않습니다. 둘째는 아버지께 돌아와 아들로써 환대를 받고 잔치에 참여하는 것으로 끝납니다. 이렇게 열린 결말로 끝맺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저는 예수께서 지금 이 비유를 듣고 있는 바리새인과 율법학자들에게 질문을 던진 것이라고 봅니다. 예수님께서는 이 비유를 말씀하시며 속으로 이렇게 이야기 하셨는지도 모릅니다.

“너희는 첫째 아들이다. 하나님의 설득에 너희가 응답할 차례다. 결론은 이 이야기를 들은 너희의 몫이다.”

여러분, 이 질문은 지금 우리에게도 유효합니다. 너희는 맏아들이다. 너희가 지금까지 하나님을 오해하지 않았느냐? 너희가 교만하게도 너희의 열심과 노력으로 아버지와 교회를 봉양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느냐? 그런 오만함에도 아버지 하나님은 나무라지 않으시고 직접 너희를 찾아가서 너희를 설득하신다. 너희는 아버지를 제대로 알고 있는가? 너희는 아버지를 진정 사랑하는가? 그렇다면 너희를 찾아와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말씀들 듣고 받아들일 것인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8 2024년 3월 10일 창세기 시리즈 8 - 창세기 정리 - 관리자 2024.03.12 3
137 2024년 3월 3일 창세기 시리즈 7 - 요셉 - 관리자 2024.03.12 3
136 2024년 2월 25일 창세기 시리즈 6 -이삭과 야곱 - 관리자 2024.03.12 3
135 2024년 2월 18일 창세기 시리즈 5 -아브라함 - 관리자 2024.03.12 3
134 2024년 2월 11일 창세기 시리즈 4 -바벨탑 사건 - 관리자 2024.03.11 3
133 2024년 2월 4일 창세기 시리즈 3 -노아 방주 - 관리자 2024.03.11 3
132 2024년 1월 28일 창세기 시리즈 2 -가인과 아벨 - 관리자 2024.03.11 5
131 2021년 4월 25일 예배영상 (설교: 바람에 나는 겨) 1 관리자 2021.04.25 447
130 2021년 4월 18일 예배영상 (설교: 왜 나는 조그만 일에 분노하는가?) 관리자 2021.04.25 301
129 2021년 4월 11일 예배영상 (설교: 한 알의 대추가 익기까지 ) 관리자 2021.04.13 297
128 2021년 3월 28일 예배영상 (설교: 서로 불쌍히 여기고 용서하십시오 ) 관리자 2021.04.13 298
127 2021년 3월 21일 예배영상 (설교: 나의 도피성) 관리자 2021.03.21 232
126 2021년 3월 14일 설교영상 (설교: 나는 의지로 보고 타인은 구조로 보라) 관리자 2021.03.21 247
125 [설교요약] 성경 뼈대 세우기 관리자 2020.06.28 393
124 [설교요약] 오해를 인정할 때 이해가 시작된다 관리자 2020.06.21 407
123 [설교요약] 벌칸인은 없다 관리자 2020.06.14 283
122 [설교요약] 내 안에 거하라 관리자 2020.05.31 276
121 [설교요약] 낮은 울타리 관리자 2020.05.24 309
120 [설교요약] 고통 받는 자들의 시각으로 보라 관리자 2020.05.10 353
119 [설교요약] 다른 북소리를 따라 걷는 사람들 관리자 2020.04.27 35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 7 Next
/ 7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